mirror.co.kr 고전시가론 - 어부가계 시가의 사적 전개 > mirror4 | mirror.co.kr report

고전시가론 - 어부가계 시가의 사적 전개 > mirror4

본문 바로가기

mirror4


[[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


고전시가론 - 어부가계 시가의 사적 전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6-29 21:05

본문




Download : 고전시가론 - 어부가계 시가의 사적.hwp




늘 낚시를 드리우고 있었으나 미끼를 달지 아니하

1) 어부가계 한시

고전시가론 - 어부가계 시가의 사적 전개
어부는 강호에서 閑情을 즐기거나 釣魚之樂을 즐기는 자이다. 그 이후 唐宋代에 걸쳐 많은 어부가가 지어졌고 이러한 중국(中國)의 어부가들은 우리 나라에 많은 influence을 미쳤다. 도잠은 고려뿐 아니라 조선조 시인에게 많은 형향을 끼쳤으며, 그의 “귀거래사(歸去來辭)”에는 한적하고 안녕한 심경으로 현실도피의 태도를 취하여 정고한 절조를 노래하고 있따 이 또한 어부가에 많은 influence을 미친다. 어부가는 주로 假漁翁의 세계를 담고 있따

5. 참고문헌

1. 들어가며
고전시가론 - 어부가계 시가의 사적 전개



2) 어부가계 국문시가의 성립 배경


Download : 고전시가론 - 어부가계 시가의 사적.hwp( 95 )


.
고전시가론 - 어부가계 시가의 사적 전개



2. 어부가의 발생배경

순서
도잠(陶潛)의 “도화원기(桃花源記)”에서는 어부를 이상적 인물로 형상화함으로써 어부생활이 은일사상의 단적인 이상향이 되었다. “당서 장지화전(唐書 張志和傳)”에 의하면 “장지화는 강호에 살면서 스스로 연파조도(煙波釣徒)라고 불렀다.



4) 어부가계 가사

고전시가론 - 어부가계 시가의 사적 전개


고전시가론 - 어부가계 시가의 사적-2138_01_.jpg 고전시가론 - 어부가계 시가의 사적-2138_02_.jpg 고전시가론 - 어부가계 시가의 사적-2138_03_.jpg 고전시가론 - 어부가계 시가의 사적-2138_04_.jpg 고전시가론 - 어부가계 시가의 사적-2138_05_.jpg

.
우리 나라 현전 최초의 어부가계 한시는 신라 말 최광유의 작품이나, 본격적인 어부가의 출현은 고려 무신란 이후부터라고 할 수 있따 무신란 이전에도 적지 않은 어부가가 지어졌을 것으로 보이나, 현전 문헌에서는 거의 찾아볼 수가 없기 때문인데 무신란 이후 본격적으로 등장한 어부가는 조선후기까지 선인들의 커다란 관심 속에 지속적으로 지어졌다.
고전시가론 - 어부가계 시가의 사적 전개
다. 굴원이 살았던 춘추전국시대는 이미 노장적 사상이 무르익어 그의 어부사에는 隨物而化의 삶을 살아가고자 한 어부가 등장한다. 2) <악장가사> 소재 어부가계 시가
고전시가론 - 어부가계 시가의 사적 전개 고전시가론 - 어부가계 시가의 사적 전개 고전시가론 - 어부가계 시가의 사적 전개 ♦ 목 차 ♦ 1. 들어가며 2. 어부가의 발생배경 1) 어부가의 유래 2) 어부가계 국문시가의 성립 배경 3. 어부가계 시가의 전개 1) 어부가계 한시 2) <악장가사> 소재 어부가계 시가 3) 어부가계 시조 4) 어부가계 가사 4. 나오며 5. 참고문헌

고전시가론 - 어부가계 시가의 사적 전개

1) 어부가의 유래(由來)
설명
세속의 번잡함을 떠나 강호자연에서 유유자적하며 살아가는 어부생활은 후대에 많은 사람들의 동경을 불러 일으켰고, 시인들 또한 어부가를 짓게 된다된다.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4. 나오며

.
2. 어부가의 발생 배경

발제지는 우리 나라 어부가계 시가의 전개를 알아보기 위해서 먼저 어부가계 시가의 발생 배경에 대해 알아본 후 어부가계 한시, <악장가사>소재 “어부가”계 시가, 어부가계 시조, 어부가계 가사로 나누어 살펴보기로 하겠다. 어부는 굴원 굴원 [屈原, BC 343 ?~BC 277 ?] , 전국시대 정치가이자 비극시인
로부터 스타트 되었었다. 강호에서 생계를 꾸려가는 어부를 眞漁翁, 또는 實漁翁이라 하고, 일시적이거나 부득이한 상황 등에 의해서 강호생활을 영위하는 어부를 假漁翁이라 한다. 중국(中國)에서 어부가의 구체적인 유래는 장지화에서 비롯된다된다.
3) 어부가계 시조

문헌에 나타나는 어부에 대한 최초의 기록으로는 장자의 “장자(裝子)” 중의 “어부”와 굴원(屈原)의 “어부사(漁父辭)”를 들 수 있따 장자의 “어부”에는 도가적 삶의 면모가 드러나는 반면 굴원의 “어부사”는 현실을 자기의 의지대로 살아가려는 인위적 삶의 태도를 지닌 것으로 유가적 삶의 태도를 지니고 있따

1) 어부가의 유래
3. 어부가계 시가의 전개
♦ 목 차 ♦
의 대명사로 쓰이기도 하고 은둔인이나 유배인을 이르기도 한다.
어부가는 굴원의 “漁父辭” 조국에서 추방되어 초조히 강가를 방황하는 굴원이 어부의 물음에 답하여 이 세상의 오탁(汚濁)에 물들지 않으려는 깨끗한 자기의 의지를 말하는데, 은자(隱者)인 어부는 이 세상의 청탁(淸濁)에 구애받지 마라 하며 〈창랑가(滄浪歌)〉를 부르면서 떠나간다.
Total 18,366건 992 페이지

검색

REPORT 74(sv75)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mirror.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

[저작권이나 명예훼손 또는 권리를 침해했다면 이메일 admin@hong.kr 로 연락주시면 확인후 바로 처리해 드리겠습니다.]
If you have violated copyright, defamation, of rights, please contact us by email at [ admin@hong.kr ] and we will take care of it immediately after confirmation.
Copyright © mirror.co.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