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가의 槪念 및 향가 작품 分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8-03 23:39본문
Download : 향가의 개념 및 향가 작품 분석.hwp
향가의 槪念 및 향가 작품 分析
향가의 定義(정이) 및 향가 작품 analysis
향가의 槪念 및 향가 작품 分析
향가의 槪念 및 향가 작품 分析
향가의 개념 및 향가 작품 분석
.
같은 『균여전』가행화세분(歌行化世分)에도 사뇌란 말을 썼고 특히 그 뜻함을 풀이하여 기록했다. 최행귀는『균여전』의 ‘역가현덕분 서문’에서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시(詩)의 뜻함이 사(詞)에 정밀하게 드러나 있다. 대저 사뇌란 것은 세인들이 희희덕거리고 즐겨하는 것을 갖춘 것이며, 원왕이란 보살들의 행을 닦는 요점이다.”
.
-意精於詞 故云腦也 依普賢十種願王著歌一十一章 其序云 夫詞腦者 世人戱樂之具 願王者 菩薩之樞-
향가의 槪念 및 향가 작품 分析
-羅人
향가의 槪念 및 향가 작품 分析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순서
향가의 개념 및 향가 작품 분석 향가의 개념 및 향가 작품 분석 향가의 개념 및 향가 작품 분석 향가의 개념 및 향가 작품 분석
.
다음 글은 송력(宋曆) 8년 (967) 1월에 최행귀(균여와 같은 시기 생존)가 쓴 것이다. 그러므로 사뇌 곧 노래 말이 매우 알차다고 했다.
다. 균여께서는 보현보살의 열 가지 큰 소원에 따라 11장의 노래를 지었다. 그러므로 천지와 귀신을 감동케 하는 것이 한 둘이 아니었다.”
『삼국유사』에 쓰인 향가, 사뇌가의 용례를 보면 아래와 같다.
Download : 향가의 개념 및 향가 작품 분석.hwp( 64 )
-夫如是則 八九行之唐序 義廣文豊 十一首之鄕歌 詞淸句麗 其爲作也 號稱詞腦-
“신라 사람들은 향가를 숭상하는 이가 많았는데 이는 시(詩)나 송(頌)과 같은 것이다.
설명
“이렇기 때문에 8, 9행으로 된 당서(唐序)는 뜻이 넓어 글에 함축됨이 있고, 열한 수의 향가는 말이 깨끗하고 글귀가 고우니, 이 작품을 일러 사뇌(詞腦)라 이른다.
향가란 용어가 처음 문헌에 드러난 것은 『균여전』에서다.”
월명사 도솔가 조에 향가란 용어가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