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ror.co.kr [TIP] 현대시의 운율 > mirror4 | mirror.co.kr report

[TIP] 현대시의 운율 > mirror4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mirror4

[TIP] 현대시의 운율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5-25 18:33

본문




Download : 현대시의 운율.hwp








김대행,「압운론」,『한국시가구조연구』, 삼영사, 1976, 43~59쪽.

다.
현대시의 운율
현대시의 운율-6231_01_.jpg 현대시의 운율-6231_02_.jpg 현대시의 운율-6231_03_.jpg 현대시의 운율-6231_04_.jpg 현대시의 운율-6231_05_.jpg


현대시의 운율

양주동,「시와 운율」,『금성』3, 1924, 80쪽
현대시의 운율
압운에 대한 회의적인 시선에 비해 압운을 인정하려는 견해는 미약한 편이다.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조윤제,「시조자수고」,『신흥』4, 1930. 11.
현대시의 운율

허미자,「현대시의 압운에 대하여-한국시의 分析을 중심으로」,『한국文化(culture) 연구원논총』15, 1970.
.
압운
김대행은 서구시의 압운론을 엄격하게 적용할 때 한국시에서 그 기준에 맞는 압운을 찾기 어렵다고 한다.

설명



Download : 현대시의 운율.hwp( 58 )






.
현대시의 운율

우선은 압운에 대한 논의들을 살펴볼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시각은 다소 회의적이다. 우리 시가에서 압운의 가능성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는 양주동과 이병기의 논의에서 처음 된다된다. 그러나 율격이 시의 형식과 밀접한 관련을 맺으며 뚜렷이 나타났던 전통 시가에 비해서는 현대시의 운율을 分析해 내기가 어려운 것 또한 사실이다.
김차연,「한국시가의 압운 연구」,『서울대논문집(인문과학편)』10, 1964.
현대시의 운율

이후 김차연, 김선풍, 허미자 등도 우리시에서 동어 반복, 어미나 조사, 접미어의 반복 등을 압운으로 볼 수 있는가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을 보여준다.
현대시의 운율 현대시의 운율 현대시의 운율 현대시의 운율 현대시의 운율 현대시의 운율 현대시의 운율
이병기,「율격과 시조」,『동아일보』, 1928. 11~12. 1.
김선풍,「고려가요의 형태적 고찰-속요의 압운율을 중심으로」,『어문논집』12, 1970.
권혁웅,「한국현대시의 운율 연구」,『어문논집』57, 2008, 236쪽
순서
최근의 연구 중 권혁웅은 “음보가 아닌 개별 음절, 어절, 문장, 나아가 한 편의 시를 구성하는 언술 전체에서 드러나는 음운의 반복은 압운의 가능성을 품고 있으며, 이를 인정한다면 한국어가 압운을 허용하지 않았다는 주장은 철회되어야 한다”며 압운의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우리시는 언어 구조상 끝음절의 음상의 종류가 많지 않기 때문에 압운이 실패하기 쉽다는 것이다. 조윤제는 압운도 어느 정도까지는 승인하지 않으면 안 될 것이라며 미온적으로나마 긍정적인 견해를 보여 주었다. 현대시의 운율
.

현대시의 운율
현대시의 운율


현대시의 운율

운율은 시를 시답게 만드는 가장 본질적인 변별 요소이다. 이 때문에 많은 연구자들이 기존의 운율 이론이 지니는 설명(explanation)력을 활용하면서 이를 현대시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노력을 시도하였다. 이는 전통 시가에서는 물론이며, 현대시에서도 여전히 유효한 의미를 지니는 명제이다.
전체 18,366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mirror.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