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인돌 유적지 답사보고서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9-25 12:15
본문
Download : 고인돌 유적지 답사보고서.hwp
축조과정을통한고인돌 , 고인돌 유적지 답사보고서공학기술레포트 ,






축조과정을통한고인돌
,공학기술,레포트
고인돌 유적지에 대한 답사보고서입니다.
고인돌 유적지에 대한 답사보고서입니다. 지석묘군의 분포된 입지를 살펴보면 고창읍 죽림리 매산마을을 중심으로 동서로 약 1,764m 범위내에 분포되어 있따
2. 분포상황 및 특징
죽림리 매산 마을은 화실봉(표고400m)의 봉우리로부터 서남을 향하여 활 모양으로 뻗어 내리는 산 지맥을 배경으로 하고 앞에는 주진강 상류인 고창천이 가로 흐르고 있으며, 마을 뒷산은 말안장 모양의 지형으로 그 서방은 섬틀봉(표고 150.3m)이라는 삼국시대의 산성이 있는 봉우리가 있따 죽림리,상갑리 고인돌군은 고창읍에서 북서편으로 약 9.5km 남짓한 지점에 자리한 매산마을을 중심으로 동서로 약 1,764cm 범위에 분포되어 있따 이 일대 표고는 최저 표고 15m에서 최고 표고 199m 정도인데 대부분의 고인돌은 죽림리 매산마을을 기점으로 동서에 걸쳐 산줄기의 남쪽 기슭을 따라 표고 15~50m의 범위내에 …(省略)
다. 고인돌과 지석묘가 같은 의미의 용어로 사용되고 있지만 지석묘라는 용어는 그 한자의 뜻에서 추론되는바와 같이 고임돌이 있는 무덤이라는 의미이다.
레포트/공학기술
Download : 고인돌 유적지 답사보고서.hwp( 76 )
설명
순서
고인돌 유적지 답사보고서
Ⅰ. 고인돌의 의의 및 분포의 특징 1
1. 고인돌이란 1
2. 분포상황 및 특징 1
Ⅱ. 고인돌 introduction 2
1. 거대한 고인돌 집결지 고창 2
2. 고인돌의 文化(문화) 유산 가치 5
3. 고인돌의 학술자료(data)적 가치 6
1) 歷史학습의 목적 6
2) 한국사와 세계사의 이해 6
3) 선사文化(문화)와 국가 형성 6
Ⅲ. 불멸의 이름으로 다음 세상까지 고인돌 6
1. 최남단에 위치한 북방식 고인돌 전북 고창 도산리 고인돌 7
2. 정설은 없다. 하지만 7
3. 수천 년 전 죽음의 흔적 9
5. 돌처럼 영원할 수 있을까 10
Ⅳ. 축조과정 11
1. 족장사망 가정 11
2. 부족 회의 소집 11
3. 고인돌 선정 과정 11
4. 고인돌 채석 준비 과정 11
5. 고인돌 이동 과정 11
6. 운구식 12
7. 장 례 본 절 차 12
8. 고인돌 덮개 과정 12
고인돌 축조 재현 답사를 통한 학술적 가치 보고서
Ⅰ. 고인돌의 의의 및 분포의 특징
1. 고인돌이란
고인돌은 日本 에서는 지석묘(支石墓)라고도 하며 china(중국) 에서는 석붕(石棚)또는 대석개묘(大石蓋墓), 기타지역에서는 돌멘(Dolmen)이나 거석(巨石, Megalith) 이라고 한다. 인류가 거석을 이용하여 구조물을 남기게 된 것은 구조물을 축조하기 위한 재료로서 거석을 이용하였다는 점 외에도 거석에는 신비로운 힘이 깃들어 있다는 의식에 바탕을 둔 것으로 생각된다 즉 거석에는 정령이 있으며 이같은 정령에 의하여 인간의 길흉화복이 좌우될 수도 있다는 인식하에 거석을 숭배하는 의식이 바탕에 자리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따 이처럼 거석에 정령이 깃들어 있다는 의식, 또는 거석을 숭배하는 것을 만물숭배신앙(Animism)이라고 하는데 우리나라의 고인돌은 선돌과 더불어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거석文化(문화)의 요소이며 조상들의 정신 세계를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data)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