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ror.co.kr [] 내용 중심 교습법에 대하여 > mirror2 | mirror.co.kr report

[] 내용 중심 교습법에 대하여 > mirror2

본문 바로가기

mirror2


[[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


[] 내용 중심 교습법에 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0-15 06:19

본문




Download : 내용 중심 교수법최종본.hwp




* 즉 수학, 과학, 역사 등의 내용교과를 외국어로 수업함으로써 학습자의 내적 동기를 유지시키면서 그 과정에서 외국어 능력의 향상을 도모하는 교수법이라고 할 수 있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1. People learn a second language more successfully when they use the language as a medium of acquiring information.
`the integration of content learning with language teaching aims. More specifically, it refers to the concurrent study of language and subject matter, with the form and sequence of language presentation dictated by content material. - Briton, Snow, and Wesche (1989)

[] 내용 중심 교습법에 대하여
- Krashen 의 `Comprehensible Input` : Comprehensible Subject-matter teaching is language teaching. 언어 학습에서 이해성과, 주제를 강조
* There are two principles which are underlying CBI.

Download : 내용 중심 교수법최종본.hwp( 21 )


특히, 외국어의 습득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닌 교과 내용의 습득과 동시에 외국어를 습득할 수 있다는 advantage(장점) 이 있어서 한국과 같은 EFL의 영어 학습 상황에선 영어에 관한 입력을 더 많이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한 교수법이라고 할 수 있다아


2. Content-based instruction better reflects learners` needs for learning a second language.


내용 중심 교수법최종본-1517_01_.gif 내용 중심 교수법최종본-1517_02_.gif 내용 중심 교수법최종본-1517_03_.gif 내용 중심 교수법최종본-1517_04_.gif 내용 중심 교수법최종본-1517_05_.gif



2. theory 적 근거와 학습원리 및 특징

순서

이러한 접근법은 전통적인 언어 교육과정과는 대조적으로 언어의 형태나 계열성보다는 주제 내용과 훨씬 밀접한 관련성을 지닌다.

- Krashen 의 `Comprehensible Input` : Comprehensible Subject-matter teaching is language teaching. 언어 학습에서 이해성과, 주제를 강조

* 즉 수학, 과학, history 등의 내용교과를 외국어로 수업함으로써 학습자의 내적 동기를 유지시키면서 그 과정에서 외국어 능력의 향상을 도모하는 교수법이라고 할 수 있다아
내용학습과 언어 교육 목표(目標)를 통합했다는 말은 구체적으로, 언어와 내용 지식을 동시에 공부하는 것을 말하며, data(자료)(Content)가 언어 행태와 언어 제시 순서를 결정함으로써 언어 학습과 특정 전공 내용 학습을 병행시키는 것이다.

특히, 외국어의 습득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닌 교과 내용의 습득과 동시에 외국어를 습득할 수 있다는 advantage이 있어서 한국과 같은 EFL의 영어 학습 상황에선 영어에 관한 입력을 더 많이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한 교수법이라고 할 수 있다.

내용 중심 교수법 (Content-Based Learning Instruction)

- Swain 의 `Comprehensible Output` : 내용 중심 교수에서는 학생들로 하여금 현재 혹은 future 의 학습에서 유용한 학문적 언어를 사용할 수 있는 의미 있는 기회를

1. 배경 및 개요
`the integration of content learning with language teaching aims. More specifically, it refers to the concurrent study of language and subject matter, with the form and sequence of language presentation dictated by content material. - Briton, Snow, and Wesche (1989)
* 즉 수학, 과학, 역사(歷史) 등의 내용교과를 외국어로 수업함으로써 학습자의 내적 동기를 유지시키면서 그 과정에서 외국어 능력의 향상을 도모하는 교수법이라고 할 수 있다. 2. 이론적 근거와 학습원리 및 특징 1) 이론적 근거 - Krashen 의 `Comprehensible Input` : Comprehensible Subject-matter teaching is language teaching. 언어 학습에서 이해성과, 주제를 강조 - Swain 의 `Comprehensible Output` : 내용 중심 교수에서는 학생들로 하여금 현재 혹은 미래의 학습에서 유용한 학문적 언어를 사용할 수 있는 의미 있는 기회를
* There are two principles which are underlying CBI.
- 종래의 언어 교육(전통적인 교수법들)이 언어의 구조에만 관심을 둠으로써 공허한 학습이 되어 학습 동기를 저하시킨 것에 대한 반성으로 관심을 끌게 된 내용 중심의 언어 접근법(Contend-based Approach)은 특정 과목의 학습 내용과 외국어 학습을 통합하려는 시도에서 스타트된 것으로 구체적인 언어학습보다는 학습 goal(목표) 달성을 위한 특정 과목의 내용을 통한 언어 학습을 goal(목표) 로 한다.
- 종래의 언어 교육(전통적인 교수법들)이 언어의 구조에만 관심을 둠으로써 공허한 학습이 되어 학습 동기를 저하시킨 것에 대한 반성으로 관심을 끌게 된 내용 중심의 언어 접근법(Contend-based Approach)은 특정 과목의 학습 내용과 외국어 학습을 통합하려는 시도에서 시작된 것으로 구체적인 언어학습보다는 학습 목표(目標) 달성을 위한 특정 과목의 내용을 통한 언어 학습을 목표(目標)로 한다.

1. People learn a second language more successfully when they use the language as a medium of acquiring information.
설명


2. Content-based instruction better reflects learners` needs for learning a second language.
이러한 접근법은 전통적인 언어 교육과정과는 대조적으로 언어의 형태나 계열성보다는 주제 내용과 훨씬 밀접한 관련성을 지닌다. 외국어는 단순히 학습자와 상관관계가 있는 흥미로운 정보를 전달하는 매체일 뿐이다. 1) theory 적 근거





1. 배경 및 개요
내용학습과 언어 교육 goal(목표) 를 통합했다는 말은 구체적으로, 언어와 내용 지식을 동시에 공부하는 것을 말하며, reference(자료)(Content)가 언어 행태와 언어 제시 순서를 결정함으로써 언어 학습과 특정 전공 내용 학습을 병행시키는 것이다. 외국어는 단순히 학습자와 상관관계가 있는 흥미로운 정보를 전달하는 매체일 뿐이다. 내용학습과 언어 교육 목표를 통합했다는 말은 구체적으로, 언어와 내용 지식을 동시에 공부하는 것을 말하며, 자료(Content)가 언어 행태와 언어 제시 순서를 결정함으로써 언어 학습과 특정 전공 내용 학습을 병행시키는 것이다. 외국어는 단순히 학습자와 상관관계가 있는 흥미로운 정보를 전달하는 매체일 뿐이다. * There are two principles which are underlying CBI. 1. People learn a second language more successfully when they use the language as a medium of acquiring information. 2. Content-based instruction better reflects learners` needs for learning a second language. 특히, 외국어의 습득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닌 교과 내용의 습득과 동시에 외국어를 습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서 한국과 같은 EFL의 영어 학습 상황에선 영어에 관한 입력을 더 많이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한 교수법이라고 할 수 있다.
1) 理論(이론)적 근거
- Swain 의 `Comprehensible Output` : 내용 중심 교수에서는 학생들로 하여금 현재 혹은 未來의 학습에서 유용한 학문적 언어를 사용할 수 있는 의미 있는 기회를




내용 중심 교습법, 언어 접근법, 내용 중심 접근법
다. 이러한 접근법은 전통적인 언어 교육과정과는 대조적으로 언어의 형태나 계열성보다는 주제 내용과 훨씬 밀접한 관련성을 지닌다.
내용 중심 교수법 (Content-Based Learning Instruction)
2. 理論(이론)적 근거와 학습원리 및 특징

내용 중심 교수법 (Content-Based Learning Instruction) `the integration of content learning with language teaching aims. More specifically, it refers to the concurrent study of language and subject matter, with the form and sequence of language presentation dictated by content material. - Briton, Snow, and Wesche (1989) 1. 배경 및 개요 - 종래의 언어 교육(전통적인 교수법들)이 언어의 구조에만 관심을 둠으로써 공허한 학습이 되어 학습 동기를 저하시킨 것에 대한 반성으로 관심을 끌게 된 내용 중심의 언어 접근법(Contend-based Approach)은 특정 과목의 학습 내용과 외국어 학습을 통합하려는 시도에서 시작된 것으로 구체적인 언어학습보다는 학습 목표 달성을 위한 특정 과목의 내용을 통한 언어 학습을 목표로 한다.
Total 18,132건 883 페이지

검색

REPORT 74(sv75)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mirror.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

[저작권이나 명예훼손 또는 권리를 침해했다면 이메일 admin@hong.kr 로 연락주시면 확인후 바로 처리해 드리겠습니다.]
If you have violated copyright, defamation, of rights, please contact us by email at [ admin@hong.kr ] and we will take care of it immediately after confirmation.
Copyright © mirror.co.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