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양] [교양] 사회학 - 낙인theory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5-03 01:57
본문
Download : [교양] 사회학 - 낙인이론.hwp
위의 법과 관습에 적용받고 아들 못 낳는다고, 질투한다고, 말많다고 일탈자로 규정받고 쫓겨나는 사람은 누구인가? 여성들이다.
교양, 사회, 낙인, 이론
Ⅱ. 본론․․․․․․․․․․․․․․․․․․․․․
누가 우리 나라의 가족법을 만들었는가? 누가 동성동본 혼인금지법을 만들었는가? 누가 七去之惡을 만드었는가? 누가 三從之道를 강조했는가? 모두 우리 나라의 남성들이다.
Download : [교양] 사회학 - 낙인이론.hwp( 14 )
== 목 차 ==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 참고문헌․․․․․․․․․․․․․․․․․․
Ⅰ. 서론
탈선행위론은 사회사람들이 왜 범죄 또는 탈선행동을 저질렀는가, 즉 주어진 규범이나 법을 범하는 개인적 행위가 나타나는 原因에 대한 행위적 측면에 관심이 있지만 낙인이론(또는 사회reaction response이론)은 탈선의 사회적 규정을 검토하고 사람들이 어떻게 문제의 상황-사람-과정 또는 사건을 규정하는가 즉 탈선을 규정하는 기준이 되는 규범이나 법이 어떻게 생산-변질되는가에 대한 규정적 측면에 관심이 집중되어 있따 따라서 이 이론은 규범이나 법을 위반한 개인에게 향해진 낙인이나 사회적 reaction response의 성격을 강조하는 데 있따
설명
일탈은 특정사회에서 특정시간에 특정한 이유로 특정집단의 사람들이 일탈이라고 규정한 행위라고 본다. 일탈행동은 사람이 일탈행동이라고 딱지를 붙인 행동을 말한다”라고 이론을 설명(說明)했다.
Ⅱ. 본론
순서
다. 그러므로 일탈은 자연적이고 보편적인 사회현상이 아니라 상대적인 定義(정의) 이다. 서민에게는 11.5%, 대기업에는 3-4%를 부과하는 은행융자이율은 누가 책정하는가? 정책결정에 influence(영향)을 주는 대기업인들이다. 그는 일탈을 일차적 일탈과 이차적 일탈을 구분하였는데, 전자는 일탈행위 그 자체를 말하고 후자는 사회적 일탈로 규정된 경우를 말한다. 일탈행위란 사회적 reaction response에 의해 규정되며, 일탈의 빈도와 성격은 일탈자의 행위와 더불어 사회적 reaction response에 의해 주로 형성된다고 하였다. 이와 유사한 사회현상에 대한 설명(說明)은 지금까지 공부해 온 어떤 이론보다 낙인이론이 가장 잘 설명(說明)해 주고 있따
[교양] [교양] 사회학 - 낙인theory
이러한 측면에서 본론에서는 낙인이론에 대하여 이론적인 면을 중점으로 그것을 지지하는 관점과 비판적인 관점, 측 양측면에서 간략하게 논의해 보고자 한다. 힘없고 말못하는 여성들 위에 군림하는 힘있고 세력있고 제도를 움직이는 남성들이다.
레포트 > 기타
== 목 차 ==
Ⅰ. 서론․․․․․․․․․․․․․․․․․․․․․
낙인이론은 일탈이 규정되는 사회구조적 맥락과 그 과정에 초점을 두어 일탈을 성명하려는 시도이다. 이런 관점에서 본다면 일탈은 개인이 범한 행위의 본질이 아니고, 오히려 다른 사람들이 ‘위반자’에게 규칙과 제재를 적용한 결과일 뿐이다. 일탈은 결코 절대적 定義(정의) 이 아님을 강조한다. 이 이론은 대표자로는 베커와 메머어트를 들 수 있따 낙인이론의 핵심은 왜 어떻게 특정행동이 일탈이라고 규정되며 누가 일탈자라고 낙인을 찍는가, 또 낙인 찍힌 사람에게 그 낙인 갖다주는 사회적 influence(영향)은 무엇인가를 설명(說明)하려고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일탈은 인간이 범하는 행위의 속성이 아니라 오히려 다른 사람에 의한 규칙적용의 결과이며 위반자에 대한 제재의 결과이다.
누가 일탈행동과 일탈자를 규정하는 규칙을 만드는가 하는 질문에 대해 사회에서 경제적, 정치적 힘을 가진 사람들이 자시들의 기준에 의해서 일탈행동의 기준을 만들고 힘없는 사람들을 일탈자라고 규정한다고 한다.
![[교양] 사회학 - 낙인이론-7634_01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0901/%5B%EA%B5%90%EC%96%91%5D%20%EC%82%AC%ED%9A%8C%ED%95%99%20-%20%EB%82%99%EC%9D%B8%EC%9D%B4%EB%A1%A0-7634_01_.gif)
![[교양] 사회학 - 낙인이론-7634_02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0901/%5B%EA%B5%90%EC%96%91%5D%20%EC%82%AC%ED%9A%8C%ED%95%99%20-%20%EB%82%99%EC%9D%B8%EC%9D%B4%EB%A1%A0-7634_02_.gif)
![[교양] 사회학 - 낙인이론-7634_03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0901/%5B%EA%B5%90%EC%96%91%5D%20%EC%82%AC%ED%9A%8C%ED%95%99%20-%20%EB%82%99%EC%9D%B8%EC%9D%B4%EB%A1%A0-7634_03_.gif)
![[교양] 사회학 - 낙인이론-7634_04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0901/%5B%EA%B5%90%EC%96%91%5D%20%EC%82%AC%ED%9A%8C%ED%95%99%20-%20%EB%82%99%EC%9D%B8%EC%9D%B4%EB%A1%A0-7634_04_.gif)
※. 출처․․․․․․․․․․․․․․․․․․
Ⅲ. 結論․․․․․․․․․․․․․․․․․․․․․
베커는 그의 저서『局外者』에서 “사회집단은 위반하면 이탈자가 되게 하는 규칙들을 만들고, 그것을 특정사람들에 적용함으로써 그리고 그들에게 국외자라는 낙인을 찍으로써 일탈자를 만든다. 그의 논의에 따르면, 사회집단은 규칙을 제정함으로써 일탈을 창출해 내는 셈인데 이러한 규칙을 특정한 사람들에게 적용하여 그들에게 국외자라는 딱지를 붙임으로써 일탈을 창출한다.
베커는 낙인이론의 시각에서 일탈에 관한 정교한 설명(說明)을 시도하였다.
낙인이론은 어떻게 일탈자가 되는가 하는 일탈과정에 관심을 두는 이론이다. 어떤 사람이 교통법규를 위반하였을 때 그 행위는 일차적 일탈에 해당되고, 그 행위가 교통경찰에 적발되어 도로교통법 위반자로 규정되었을 경우에는 이차적 일탈에 해당된다 낙인이론은 일차적 일탈이 이차적 일탈로 규정되는 과정, 다시 말하면 일탈행위로 낙인이 찍히는 과정을 중요시한다. 일탈자란 성공적으로 낙인이 찍힌 사람을 말한다. 그러므로 일탈자는 그러한 낙인이 성공적으로 적용된 사람이고 일탈행위란 사람들이 그렇게 낙인찍은 행위인 것이다. 사회학의 이론적 관점에서 보면 낙인이론은 상징적 상호작용론에 입각하고 있따 낙인이론은 레머어트로부터 출발하였다고 볼 수 있따 레머어트는 1951년에 출판된 사회병리학이라는 책에서 일탈행위에 관한 하나의 체계적이론을 전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