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장애의 정책 및프로그램 우리나라 정신보건의 改善(개선) 方案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10-04 12:54
본문
Download : 정신장애의 정책 및프로그램 우리나라.hwp
[개정 2000·1·12, 2004.1.29]
3) 정신장애의 property(특성)
다. [[시행일 2000·7·13]]
2. 정신장애의 종류
정신장애,정신보건
8) 섭식장애
3. 정신의료기관이라 함은 의료법에 의한 의료기관중 주로 정신질환자의 진료를 행할 목적으로 제12조제1항의 시설기준 등에 적합하게 설치된 병원(이하 “정신병원”이라 한다)과 의원 및 병원급이상의 의료기관에 설치된 정신과를 말한다.
14) 인지장애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 ※ 정신장애인의 등급 ※
11) 충동통제 장애
6) 해리성 장애
제1급
3) 기분장애
정신장애의 개념 및 정의 1) 정신보건법에 따른 개념 2) 장애인복지법에 따른 개념 3) 정신장애의 특성 4) 정신장애의 원인(이론적 방법) 및 문제 2. 정신장애의 종류 1) 소아․청소년 정신장애 2) 정신불열증 및 유사 장애 3) 기분장애 4) 불안 장애 5) 신체형 장애 6) 해리성 장애 7) 성 장애 및 성정체감 장애 8) 섭식장애 9) 수면장애 10) 물질관련 장애 11) 충동통제 장애 12) 성격장애 13) 적응장애 14) 인지장애 3. 정신장애의 정책 및 프로그램 1) 법에 관련한 정책 2) 제도에 따른 서비스 및 프로그램 3) 정신장애의 현황 4) 예방 4. 우리나라 정신보건의 개선방안
순서
4. 우리나라 정신보건의 改善(개선) 方案
13) adaptation(적응) 장애
12) 성격장애
3. 정신장애의 정책 및 프로그램
2) 제도에 따른 서비스 및 프로그램
5) 신체형 장애
2. 정신보건시설이라 함은 이 법에 의한 정신의료기관·정신질환자사회복귀시설 및 정신요양시설을 말한다.
1) 정신보건법에 따른 개념(槪念)
1. 정신분열병으로 망상․환청․사고장애 및 기괴한 행동 등의 양성증상 또는 사회적 위축과 같은 음성증상이 심하고, 현저한 인격變化(변화)가 있으며, 기능 및 능력장애로 인하여 주위의 전적인 도움이 없이는 일상생활을 해나가는 것이 거의 불가능한 사람(정신병을 진단받은지 1년 이상 경과한 사람에 한한다.
1) 소아․청소년 정신장애
2) 정신불열증 및 유사 장애
2. 양극성 정동장애(조울병)로 기분․욕․행동 및 사고장애 증상이 심한 증상기가 지속되거나 자주 반복되며, 기능 및 능력장애로 인하여 주위의 전적인 도움이 없이는 일상생활을 해나가는 것이 거의 불가능한 사람
3) 정신장애의 현황
4) 정신장애의 요인(이론적 방법) 및 문제
5. 정신요양시설이라 함은 이 법에 의하여 설치된 시설로서 정신의료기관에서 의뢰된 정신질환자와 만성정신질환자를 입소시켜 요양과 사회복귀촉진을 위한 훈련을 행하는 시설을 말한다.





4) 예방
10) 물질관련 장애
4) 불안 장애
. 정신보건법에 따른 관념
2) 장애인복지법에 따른 개념(槪念)
1) 법에 관련한 정책
Download : 정신장애의 정책 및프로그램 우리나라.hwp( 54 )
정신장애의 정책 및프로그램 우리나라 정신보건의 改善(개선) 方案
정신장애의 개념(槪念) 및 정이
설명
7) 성 장애 및 성정체감 장애
9) 수면장애
4. 정신질환자사회복귀시설(이하 사회복귀시설이라 한다)이라 함은 이 법에 의하여 설치된 시설로서 정신질환자를 정신의료기관에 입원시키거나 정신요양시설에 입소시키지 아니하고 사회복귀촉진을 위한 훈련을 행하는 시설을 말한다. 1. 정신질환자라 함은 정신병(기질적 정신병을 포함한다)·인격장애·알코올 및 약물중독 기타 비정신병적정신장애를 가진 자를 말한다. 이하 같다)
제3조 (定義(정이))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定義(정이)는 다음과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