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china(중국) 사연구와 아시아적 생산양식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9-26 20:21
본문
Download : 일본의 중국사연구와 아시아적 생산양식론.hwp
이런 Japan인들에게 아편전쟁이래의 기나긴 반봉건반제투쟁의 길을 거…(To be continued )
Download : 일본의 중국사연구와 아시아적 생산양식론.hwp( 64 )
다.
설명






일본의 china(중국) 사연구와 아시아적 생산양식론
순서
일본의중국사연구와아시아적생산양식론 , 일본의 중국사연구와 아시아적 생산양식론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일본의china(중국) 사연구와아시아적생산양식론
가. 서론 (연구의 동기)
나. 본론
Ⅰ. 서양의 전통적 동양농업관과 그 effect
Ⅱ. 마르크스주의의 동양농업인식
1.마르크스의 동양농업인식
2.마르크스 이후의 동양농업인식
Ⅲ. Japan의 中國농업인식
1.전전의 연구동향
2.전후의 연구동향--아시아적 생산양식론의 적
용배경과 관련하여
(1)제민지배체제론와 그 한계
(2)아시아적 생산양식론적 연구와 그 한계
(3)한말삼국이래중세사회론에 의한 연구
(4)소경영생산양식의 출현과 의의
Ⅳ.부업생산 연구의 의의
1.재생산구조 연구의 의의
2.부업생산연구의 necessity
다. 전전사학의 비판이란 방향에서 세계사적 통일성이나 주체적 발전관을 토대로 사회발전을 질적 구조적으로 파악하여 보려고 노력하였다.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의 성립은 그러한 생각을 결정적인 것으로 만들었다. 그리고 가등번과 주등길지 등은 고대와 중세의 사회경제적 특질을 규명하기 위해 전력을 다하였다. 그리고 연구 주제로서는 천황제비판, 군주제, 국가권력, 봉건제와 자본주의에 관한 논의 등이 제기되고 전전의 지배적 동양사론이었던 정체성론이 비판되었다. 맺음말
2.전후의 연구동향--아시아적 생산양식론의 적용배경과 관련하여
전후의 전전사학에 대한 반성은 관학적 아카데미즘의 비판에 집중되었는데, 관제의 황국사관의 공백을 메꾼 것은 전통적인 역사(歷史)학 연구방법이 아니라 마르크스주의적 사관에 토대를 둔 연구방법이었다. 그리하여 1948년에 전전직전의 「동아시아에 있어서의 고대의 종말」이라는 논문이 발표되었다. 그런데 1945년의 패전으로 Japan의 서구지향적인 ‘근대화’는 역사(歷史)적으로 파산된 것으로 생각되자, Japan의 앞길은 아시아로 귀속되는 길밖에 없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그런데 위와 같은 연구경향의 전환은 19세기후반의 Japan의 서구에 대한 열등감을 극복하기 위한 탈아론으로부터 다시 동아시아 공동체적 논리를 강조하는 성격을 가진 것이었다. 즉 종전 직후에는 전전의 연구조건이나 기반을 거의 상실한 위에 자유체제와 유물론의 유행등을 배경으로 하여 전후사학의 방향성을 모색하였다. 탈아론적인 근대화를 지향하였던 Japan은 마침내 ‘대동아공영권적인’ 아시아주의로 귀착할 수 밖에 없었고 그 결과도 패전이라는 현실이었다. 민두기, 「中國사 시대구분론의 사회적 배경과 그 의의 및 展望」, 『中國사시대구분론』(민두기 편, 창작과 비평사, 1984), p.11.
전전의 고증학의 전통위에 이루어진 실증사학과 더불어 전전의 발전단계설이나 종전 직후의 비판적 사론의 뒤를 이어 시대구분론이 등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