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의 사회화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10-19 10:19
본문
Download : 아동의 사회화.hwp
그러면 유아의 사회성에 아버지가 어떤 effect을 미치는 지 알아보자. 첫째,
아버지의 교육정도가 높을수록 아동에게 거부, 통제, 의존성 조장의 정도가
덜한 편이며 자녀에게 애정, 수용적인 태도를 보인다고 했다.
…(생략(省略))
다. 셋째,
아버지의 수입이 비교적 높을수록 유아의 사회성 영역인 안정성도 높게 나
타났다. 아버지의 역할은 어머니의 역할을 보완해주는 상호적 역할로
서 공정한 판단자로 부성애를 발휘하여 아동의 균형 있는 발달을 돕는 것이
라고 할 수 있다
Erikson은 8단계중 3단계에 해당하는 4-6세 경에는 어린이의 관심이 자기의
신체를 떠나서 주위 사람들로 확대되는 시기이기 때문에 아버지의 존재가
중요하다고 보았다.
순서
설명
접촉시간의 양보다 밀도 있는 심리적 접촉관계가 더욱 중요하며 아...
아동의 사회화






1970년대에 이루어진 연구들에 의하면 아버지와 자녀와의 관계를 물리적 접촉시간의 양보다 밀도 있는 심리적 접촉관계가 더욱 중요하며 아... , 아동의 사회화인문사회레포트 ,
1970년대에 이루어진 연구들에 의하면 아버지와 자녀와의 관계를 물리적
,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아동의 사회화.hwp( 74 )
1970년대에 이루어진 연구들에 의하면 아버지와 자녀와의 관계를 물리적
접촉시간의 양보다 밀도 있는 심리적 접촉관계가 더욱 중요하며 아버지가
온화하고 이해심이 많은 양육행동을 보일 때 자녀의 성역할학습 및 인지력,
성취동기, 사회성을 더욱 강화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어버이와 자녀관계는 단순히 부-자녀의 관계일 뿐 아니라 사랑의 매체가
되는 정서적이고 심리적인 관계가 될 때 훗날 대인관계에도 좋은 effect을 미
친다고 하였다. 둘째, 아버지의
직업이 전문직, 관리직일수록 자녀에게 좋은 양육태도와 관심을 보이므로 유
아의 사회적 활동성, 안정성이 높게 나타내고 있는 경향이라고 하였다. 자녀들이 바라는 바람직한 아버지의 역할에 대한 이성진
(1973)의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어머니보다 아버지에게 더 신뢰할 수 있고
포용력이 있으며 따뜻하고 능력 있는 아버지를 그리고 있다 비록 성차이에
따라 아버지가 자녀에게 끼치는 effect은 다를 수 있다 하지만 아버지가 자녀
에게 친밀하고 시간 있는 대로 함께 놀며 대화를 나누기도 하고, 애정적이고
수용적인 태도를 보일 때 자녀는 안정적이고 사교적인 特性(특성)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