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ror.co.kr [자연과학][생명과학實驗(실험)] Tris-HCl Buffer 만들기 - 단백질 분리정제 및 기능分析(분석) > mirror2 | mirror.co.kr report

[자연과학][생명과학實驗(실험)] Tris-HCl Buffer 만들기 - 단백질 분리정제 및 기능分析(분석) > mirror2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mirror2

[자연과학][생명과학實驗(실험)] Tris-HCl Buffer 만들기 - 단백질 분리정제 및 기능分析(분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2-15 14:02

본문




Download : [자연과학][생명과학실험] Tris-HCl Buffer 만들기 - 단백질 분리정제 및 기능분석.doc




Buffer solu...

Tris-HCl Buffer 만들기 - 단백질 분리정제 및 기능分析
주제 : 단백질 분리정제 및 기능分析
experiment(실험)일시 : 2008년 3월 11일 2:00p.m.~ 4:30p.m.
목적 : Column chromatography의 준비로서의 buffer만들기
experiment(실험)goal(목표) : 1M의 Tris-HCl (pH7.4), NaCl, MgSO4 Stock solution을 제조한 후 다양한 NaCl 농도의 elution buffer를 만든다.
experiment(실험)도구 : pH 미터기, Tris 가루, HCl, 증류수, 마그네틱 바, stirier, spatula, pipette (1ml), 메스실린더 (50ml이상), 비커, 전자저울, 비닐장갑, 기름종이, 50ml튜브

Introoduction

Buffer solution
Buffer solutions는 적은 양의 산이나 염기를 첨가하거나 희석시킬 경우, 용액의 H+와 OH- 의 농도 변화를 줄이기 위해 사용하는 용액이다. Buffer solutions는 약산과 그것의 짝염기로 이루어진 것이 일반적이며, 약염기와 그것의 짝산으로 이루어진 경우는 전자보다 적다.
experiment(실험)도구 : pH 미터기, Tris 가루, HCl, 증류수, 마그네틱 바, stirier, spatula, pipette (1ml), 메스실린더 (50ml이상), 비커, 전자저울, 비닐장갑, 기름종이, 50ml튜브

Introoduction

Buffer solution
Buffer solutions는 적은 양의 산이나 염기를 첨가하거나 희석시킬 경우, 용액의 H+와 OH- 의 농도 변화를 줄이기 위해 사용하는 용액이다. [자연과학][생명과학실험]%20Tris-HCl%20Buffer%20만들기%20-%20단백질%20분리정제%20및%20기능분석_doc_01.gif [자연과학][생명과학실험]%20Tris-HCl%20Buffer%20만들기%20-%20단백질%20분리정제%20및%20기능분석_doc_02.gif [자연과학][생명과학실험]%20Tris-HCl%20Buffer%20만들기%20-%20단백질%20분리정제%20및%20기능분석_doc_03.gif [자연과학][생명과학실험]%20Tris-HCl%20Buffer%20만들기%20-%20단백질%20분리정제%20및%20기능분석_doc_04.gif [자연과학][생명과학실험]%20Tris-HCl%20Buffer%20만들기%20-%20단백질%20분리정제%20및%20기능분석_doc_05.gif [자연과학][생명과학실험]%20Tris-HCl%20Buffer%20만들기%20-%20단백질%20분리정제%20및%20기능분석_doc_06.gif






설명
[자연과학][생명과학實驗(실험)] Tris-HCl Buffer 만들기 - 단백질 분리정제 및 기능分析(분석)

Download : [자연과학][생명과학실험] Tris-HCl Buffer 만들기 - 단백질 분리정제 및 기능분석.doc( 72 )




자연과학,생명과학실험,Tris,HCl,Buffer,단백질,분리정제,기능,기타,실험결과
실험결과/기타

[자연과학][생명과학실험] Tris-HCl Buffer 만들기 - 단백질 분리정제 및 기능분석 , [자연과학][생명과학실험] Tris-HCl Buffer 만들기 - 단백질 분리정제 및 기능분석기타실험결과 , 자연과학 생명과학실험 Tris HCl Buffer 단백질 분리정제 기능

[자연과학][생명과학實驗(실험)] Tris-HCl Buffer 만들기 - 단백질 분리정제 및 기능分析(분석)

Tris-HCl Buffer 만들기 - 단백질 분리정제 및 기능分析
주제 : 단백질 분리정제 및 기능分析
experiment(실험)일시 : 2008년 3월 11일 2:00p.m.~ 4:30p.m.
목적 : Column chromatography의 준비로서의 buffer만들기
experiment(실험)goal(목표) : 1M의 Tris-HCl (pH7.4), NaCl, MgSO4 Stock solution을 제조한 후 다양한 NaCl 농도의 elution buffer를 만든다. 용액의 pH변화에 저항하는 buffer solutions의 기능은 앞서 말한 약산과 그 짝염기의 평형에 의한 결과로, Le Chatelier의 공통이온결과 에 의해 설명(explanation)될 수 있따
HA(aq) + H2O(l) → H3O+(aq) + A(aq)
만약 위의 용액에 염기를 첨가하면, 염기는 곧 산-염기 중화反應(반응)을 통해 H3O+를 제거하고, 평형反應(반응)에 의해 위의 反應(반응)은 정反應(반응)이 진행되어 원래의 pH를 유지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위 용액에 강산을 첨가하면, 짝염기 A와 protonated 되어 역反應(반응)이 진행되므로 원래의 pH가 유지될 수 있따 이러한 현상은 강산이나 강염기의 용액에 산 또는 염기를 떨어뜨렸을 때와 큰 차이를 보이는데, 이는 강산에 강염기를 이용해 titration 할 때보다 약산과 약염기를 titration할 때 pKa값 근처에서의 pH 변화가 작…(省略)






순서
다.
전체 18,132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mirror.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