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식론 (회의주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9-11 21:28
본문
Download : 인식론 (회의주의).hwp
(그러나 이 논증은 잘못된 것이다.
인식론,회의주의,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Download : 인식론 (회의주의).hwp( 11 )
순서
<< 회의주의(Skepticism) >>
1. 몇 가지 구별
? 회의주의는 일반적으로 몇 가지 논증을 통해서 “엄밀한 의미의 지식(= 의심할 수 없을 만큼 확실한 지식)이 불가능함”을 밝히려고 한다(제1유형).
* 회의주의와 지식, 그리고 확실성에 대한 추구: 전통적으로 철학자들은 어떤 경우에도 의심할 수 없을 만큼 ‘확실한’ 것을 지식의 기초로 삼으려고 애써 왔다(cf. 건축물의 비유; 기초가 부실하면 무너진다). 그런데 이렇게 확실한 것만을 추구하다 보니, 결국 거기서부터 철학적 회의주의의 논증이 등장하게 된다
논증 ⑴: a) 우리가 아는 어떤 사실 ‘P’가 참이 아닌 한, 우리는 그걸 (진정으로) 안다고
할 수 없다. “내가 무엇을 안다는 사실”과 “내가 그것에 대해 잘못을 범하고 있다는 사실”은 서로 모순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 무엇이 “내가 그것에 대해 결코 잘못을 범할 수 없는 어떤 것”이 되지는 않기 때문이다 = ‘양상(樣相) 논리의 오류’)
논증 ⑵ : a) 우리는 우리가 보통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 대부분에 관해 잘못을 범할
수 있다
b) ‘P’가 “우리가 그것에 대해 잘못을 범할 수 있는 어떤 것”이라면(즉 ‘P’가 참
임을 의심할 수 있다면), “우리가 ‘P’를 안다”는 것도 의심할 수 있다
c) “우리가 ‘P’를 안다”는 건 의심의 여지가 있으므로, 앞의 논증에 따라
…(省略)
인식론 (회의주의)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다. , 인식론 (회의주의)인문사회레포트 , 인식론 회의주의
인식론 (회의주의)
_hwp_01.gif)
_hwp_02.gif)
_hwp_03.gif)
_hwp_04.gif)
_hwp_05.gif)
_hwp_06.gif)
인식론 (회의주의) - 프리뷰를 참고 바랍니다.
b) 즉 우리가 어떤 사실 ‘P’를 알고 있다면, 우리는 그 ‘P’를 (결코) 잘못 알고
있을 수가 없다(즉 그것에 대해 잘못을 범할 수가 없다).
c) 우리가 ‘P’를 아는 것이 가능한 것은 ‘P’에 관해 잘못을 범하는 일이 불가능한
경우뿐이고, 이런 경우는 곧 ‘확실한(= 의심의 여지가 없는)’ 경우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