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感想文(감상문) ] 『죽은 시인의 사회』를 통해 본 우리나라의 교육 현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5-05 10:34
본문
Download : [영화감상문] 『죽은 시인의 사회』를.hwp
그리고 영화를 보는 내내 현재 한국교육의 문제점들과 굉장히 닮아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영화感想文(감상문) ] 『죽은 시인의 사회』를 통해 본 우리나라의 교육 현실
.
![[영화감상문] 『죽은 시인의 사회』를-2316_01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903/%5B%EC%98%81%ED%99%94%EA%B0%90%EC%83%81%EB%AC%B8%5D%20%E3%80%8E%EC%A3%BD%EC%9D%80%20%EC%8B%9C%EC%9D%B8%EC%9D%98%20%EC%82%AC%ED%9A%8C%E3%80%8F%EB%A5%BC-2316_01_.jpg)
![[영화감상문] 『죽은 시인의 사회』를-2316_02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903/%5B%EC%98%81%ED%99%94%EA%B0%90%EC%83%81%EB%AC%B8%5D%20%E3%80%8E%EC%A3%BD%EC%9D%80%20%EC%8B%9C%EC%9D%B8%EC%9D%98%20%EC%82%AC%ED%9A%8C%E3%80%8F%EB%A5%BC-2316_02_.jpg)
[영화감상문] 『죽은 시인의 사회』를 통해 본 우리나라의 교육 현실 [영화감상문] 『죽은 시인의 사회』를 통해 본 우리나라의 교육 현실
[영화感想文(감상문) ] 『죽은 시인의 사회』를 통해 본 우리나라의 교육 현실
위 문단에서 한 가지 또 다른 중요한 문제점을 찾을 수 있는데 바로 내 life(인생) 의 설계자가 내가 아니라 부모님이라는 것이다.
순서
설명
‘죽은 시인의 사회’라는 영화가 있다 이 영화는 전통과 규칙을 그 무엇보다도 중시하는 웰튼 아카데미에 키팅이라는 교사가 부임하면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變化를 보여줌으로써 현 교육의 문제점과 참교육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깊이 생각해 보게 만든다. 실패해보기를 예로 들어보자면 학생시절에는 실패해도 그 충격파가 그리 크지도 않고 수습할 시간도 충분하다. 이 외에도 이런저런 문제점들이 나오지만 이러한 문제들이 입시만을 목표(goal)로 하는 교육과정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사실을 부정할 순 없을 것이다. 요즘은 우리나라에서도 서양적 교육관이 조금씩 자리잡아 자식을 자신과 동등한 인격체로 여겨 opinion(의견)을 존중해 주는 부모님이 점점 늘어나는 추세라고 한다. 물론 더 좋은 future(미래)를 위하여 공부하게 하는 게 도대체 뭐가 나쁜거냐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을 것이다. 그런데도 현재의 교육은 성공한 life(인생) 을 살기 위해선 한눈파는 것을 허락하지 않고 외길만을 고집하며 너무 여유 없이 현재를 살게 하고 있는 게 아닌가 싶다. 하지만 지금이 아니면 하기 힘든, 아니 해보기 힘든 일들이 있을 것이다. 입시교육에 찌들어 수업을 입시와 연관되어 있는 가 혹은 점수와 상관있는 가로 생각하며 현재보다 future(미래)의 모습을 위하여 살아가길 강요당하고 있는 우리나라 학생들의 모습이 떠오르는 대목이다. ‘내가 너를 위해 힘들게 돈 벌며 희생하고 있으니 넌 내가 꿈꾸던 바를 이뤄줘야 할 의무가 있어!’라고 말하고 있는 듯한, 나란 존재의 특성을 무시하는 부모님의 잘못된 교육관이다.
Download : [영화감상문] 『죽은 시인의 사회』를.hwp( 98 )
[영화感想文] 『죽은 시인의 사회』를 통해 본 우리나라의 교육 현실
흔히 ‘교육은 백년지대계(百年之大計)다’라고 한다.
레포트 > 기타
.
[영화감상문] 『죽은 시인의 사회』를 통해 본 우리나라의 교육 현실
.
[영화感想文(감상문) ] 『죽은 시인의 사회』를 통해 본 우리나라의 교육 현실
좋은 대학에 가 부모님이 원하는 직장을 얻기 위해 공부하던 아이들에게 키팅이 교사로 부임해 제일 먼저 가르친 것은 바로 ‘카르페 디엠’! 즉 현재를 즐기라는 것이었다. 하지만 우리는 이 중요한 계획이 집권당의 變化에 따라 교육과정이라는 이름 하 에 채 몇 년이 되지 않아 손바닥 뒤집듯이 바뀌는 모습을 많이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變化에 대한 이유로 사교육비용을 잡기 위해 혹은 공교육이 제 몫을 하지 못하고 있어서라는 말을 하곤 한다.
다. 교육은 먼 앞날까지 보고 세우는 크고 중요한 계획이란 뜻이다. 하지만 얼마 전에도 아버지와의 진로갈등으로 인해 집에 불을 질러 온가족을 죽음에 이르게 한 사건이 있었듯이 여전히 자식을 자신의 소유물로 여기는 부모님들이 많은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부모님들이 한 번 쯤은 ‘나도 내 아이에게 아이의 바람보다 나의 바람을 더 강요하진 않았나’하고 생각해봐야 할 부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