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덕순의 한국문학사 요약 및 요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8-30 21:10
본문
Download : 장덕순의 한국문학사 요약 및 정리.hwp
그러나 왕조 위주의 시대구분은 가능하다.
예컨대 「고대문학 - 삼국시대문학 - 신라문학 - 고려문학 - 조선조문학 - 개화기문학 - 현대문학」으로 가능하다. 비록 시대구분의 理論적 근거가 약간 무시되기도 하고, 정치적 변혁의 중요한 시기에도 일치하지 않는 점도 있따
.
이상과 같은 理論을 바탕으로 우리 문학사의 시대구분을 시도하려 해도 사실상 어려운 점이 많다.
순서
장덕순의 한국문학사 요약 및 요점
2. 고대가요(향가이전)
Ⅰ. 1. 구비문학
다.
장덕순의 한국문학사 요약 및 요점
장덕순의 한국문학사 요약 및 정리
그 첫째는 여러 왕조가 교체되었기 때문에 왕조는 무시하기가 힘들고, 둘째는 한글이 15세기에 창제되었으나 한자문학은 그 이전이나 이후에도 여전히 성행되어 엄밀한 의미에서의 한국문학만에 의한 시대구분이 곤란하다.
설명
Download : 장덕순의 한국문학사 요약 및 정리.hwp( 32 )
.
장덕순의 한국문학사 요약 및 정리 장덕순의 한국문학사 요약 및 정리 장덕순의 한국문학사 요약 및 정리
3. 향가문학(신라 ~ 여초)
또한「고대문학 - 향가문학 - 과도기문학 - 한글창제와 15세기문학 - 시가문학 - 산문문학 - 신문학 - 현대문학」으로 할 수 있따 그러나 이것만으로 시대적 특징이나 그 배경이 요연하게 나타날 수가 없을 뿐 아니라 문학 양식의 변천과정도 위와 같이 분명히 나눌 수 없는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따
이러한 문제를 고려한 끝에 문학의 양식사적인 면을 중요시하면서 서술해 나가보겠다.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





장덕순의 한국문학사 요약 및 요점
한국문학사의 시대구분은 지금까지 세기나 제왕즉위의 연대를 기준으로 한 것이 동ㆍ서 문학에 있어서 공통적인 방법이었다. 시대구분이란 것은 연속적으로 부단히 흐르고 있는 history적 시간상에 하나의 시간적 단위를 설정하기 위하여 시간 위에 임의로 일선을 획하는 것이다.
Ⅱ. 1. 고
장덕순의 한국문학사 요약 및 요점
장덕순의 한국문학사 요약 및 정리
문학사의 시대구분에 있어서 그것이 세기에 의하건 또 제왕즉위에 의하건 그 시대를 특징지을 수 있는 history적 사실을 무시해서는 안 되고, 또 어디까지나 문학사인 만큼 그 시대를 대표할 수 있는 문학적 사건도 충분히 고려하는 태도를 견지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여기엔 문학적 사건은 전혀 고려되지 않고 있어 문학사의 시대구분으로서는 그 의의를 상실하고 있따 한편 문학위주의 시대구분도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