빙허 현진건의 생애와 작품 세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6-30 16:07
본문
Download : 빙허 현진건의 생애와 작품 세계.hwp
.
다. 1920년에 <개벽(開闢)>에 발표한 그의 처녀작 <희생화>는 황석우로부터 혹평을 듣기도 했지만 후에 기술면에서는 비교적 딴 작가들보다 우수한 역량을 발휘하기 처음 하여 <빈처>, <술 권하는 사회>, <타락자>, <운수 좋은 날>, <불> 등이 모두 그 다음해부터 발표해 나간 작품이며 그는 이로 말미암아 당시 <백조(白潮)> 동인 중 단편 작가로서 그리고 사실주의 작가로서 가장 뛰어난 역량을 발휘하여 근대 문학사에 큰 공적을 남겼다. 그의 집안은 조선조 대대로 역관을 세습할 정도로 많은 역관을 배출하였고 구한말 근대사회로 진입하는 사회 변동기에는 정치, 문화 엘리트를 많이 배출했다. 1925년 작품집 <조선의 얼골>을 내고서 후에 <적도>의 일부가 되었던 작품을 발표하다가 중단했을 뿐, 1927년 7월 <신문지와 철창>을 발표할 때까지 이렇다 할 작품을 발표하지 않았다. 1921년 조선일보에 입사하고 <백조>동인으로 활동하면서 이어 동명․시대일보 등을 거쳐 동아일보로 자리를 옮겨 1937년까지 기자 생활을 계속했다. 이는 삶에 대한 자신의 진실을 그대로 담아 낸 작품으로써 그의 문학의 새로운 도전이었다. 그는 바쁜 신문기자 생활에서 몇 편의 단편을 발표하고, 우리 역사(歷史)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위하여 역사(歷史)의 현장 순례를 나서고 주나라 하강기를 배경으로 한 소설 <웃는 포사>를 4회에 걸쳐 발표하다가 중단한다. 1925년경까지 왕성하게 작품 활동을 했고, 조선일보 합평회에 참여하고 문예지의 작품 월평에 참여하기도 했다. 1919년 당숙인 ‘보운’의 양자가 되었으며 그해 조선 웅변회를 조직하여 활동하면서 외국 소설을 번역 발표하다가 처녀작 <희생화>에 이어 「빈처」 등을 발표함으로써 작가로서 이름을 드러내기 처음 했다. 그는 1910년인 열한 살 때 생모를 여의고, 열여섯에 대구 부호인 경주 이씨 집안 진사의 딸 순득과 결혼한 후에 日本 으로 건너가 외국어학교에서 공부를 한 후, 귀국하여 이상화, 이상백, 백기만 등과 함께 동인지 <거화(炬火)>를 간행했다. 초기 소설은 자본주의 경제 체제의 市民사회에서 각
빙허 현진건의 생애와 작품 세계
설명
순서
빙허 현진건의 생애와 작품 세계
.
빙허 현진건의 생애와 작품 세계
현진건은 구한말 통신원 전보국장을 역임한 연주(延州) 현씨(玄氏) 현경운과 이정효 사이에서 4남으로 1900년 음력 8월 9일에 출생하였다. 이 기간에는 창작보다는 몇 편의 신변잡기적인 문장을 발표하였고, 그 동안에 발표하였던 번역소설을 묶어 간행하였다.



빙허 현진건의 생애와 작품 세계 빙허 현진건의 생애와 작품 세계 빙허 현진건의 생애와 작품 세계 빙허 현진건의 생애와 작품 세계
Download : 빙허 현진건의 생애와 작품 세계.hwp( 56 )
.
빙허 현진건의 생애와 작품 세계
빙허 현진건의 생애와 작품 세계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그의 작품은 크게 세 시기로 분류할 수 있다. 1936년 동아일보 4차 정간으로 구속되고, 1937년 신문사를 그만 두고 양계로 생활을 꾸려가면서 역사(歷史)소설 <무영탑(無影塔)>을 동아일보에 연재하기 처음 하였다. 그는 마지막 작품인 <선화공주(善化公主)>를 <춘추(春秋)>에 연재하다가 완성을 못 보고 딸의 결혼 한 달 후인 1943년 4월 25일 장결핵으로 세상을 떠났다.
2. 작품세계
빙허 현진건의 생애와 작품 세계
빙허 현진건의 생애와 작품 세계
그는 문필을 하면서 기자로 생활하였다. 이어 <흑치상지(黑齒常之)>를 연재하다가 중단하고, <조선의 얼골>도 금서 처분을 받았다. 그간에 그는 동아일보 정간, 양조모의 별세, 부암리로 이사, 형의 죽음 등 개인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충격적인 사태를 당하였다. <적도>는 양모의 죽음, 형과 형수의 죽음 등 충격적인 집안일을 당하면서 그 나름의 문학적 진실을 확인하는 소설이라고 할 수 있으며, 1933년 12월 20일부터 동아일보에 연재하기 처음 하여 1934년 6월 17에 끝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