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학test(실험) 레포트(report) 보고서] 축전기와 정전용량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8-01 00:57
본문
Download : [물리학실험 레포트 보고서] 축전기와 정전용량.hwp
② 저울
우선 저울의 영점을 맞추기가 쉽지 않았다…(skip)
실험결과/물리
설명
[물리학실험 레포트 보고서] 축전기와 정전용량 , [물리학실험 레포트 보고서] 축전기와 정전용량물리실험결과 , 물리학실험 레포트 축전기와 정전용량
Download : [물리학실험 레포트 보고서] 축전기와 정전용량.hwp( 53 )
[물리학test(실험) 레포트(report) 보고서] 축전기와 정전용량
[물리학test(실험) 레포트(report) 보고서] 축전기와 정전용량
물리학실험,레포트,축전기와,정전용량,물리,실험결과
순서
다. 이 實驗은 전자저울을 사용하여 정밀한 實驗이라고 할 수 있으나 실제 결과 값에선 정확도가 많이 떨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아 이는 외부 요인에 의한 오차의 influence이라고 생각된다된다.
오차의 원인(原因)
① 평행한 도체판
實驗하는 도중 도체판 사이가 완전히 평행을 이루지 못하였다. 실제로 자로 측정(測定) 을 해보니 앞쪽과 뒤쪽의 간격이 1mm정도 차이가 날때도 있었다. 하지만 아무리 균형을 유지하여 평행을 맞추려고 해도 도체판 자체가 기울어져있는지 그 이상은 평행하지 못하였다.
![[물리학실험%20레포트%20보고서]%20축전기와%20정전용량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AC%BC%EB%A6%AC%ED%95%99%EC%8B%A4%ED%97%98%20%EB%A0%88%ED%8F%AC%ED%8A%B8%20%EB%B3%B4%EA%B3%A0%EC%84%9C%5D%20%EC%B6%95%EC%A0%84%EA%B8%B0%EC%99%80%20%EC%A0%95%EC%A0%84%EC%9A%A9%EB%9F%89_hwp_01.gif)
![[물리학실험%20레포트%20보고서]%20축전기와%20정전용량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AC%BC%EB%A6%AC%ED%95%99%EC%8B%A4%ED%97%98%20%EB%A0%88%ED%8F%AC%ED%8A%B8%20%EB%B3%B4%EA%B3%A0%EC%84%9C%5D%20%EC%B6%95%EC%A0%84%EA%B8%B0%EC%99%80%20%EC%A0%95%EC%A0%84%EC%9A%A9%EB%9F%89_hwp_02.gif)
![[물리학실험%20레포트%20보고서]%20축전기와%20정전용량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AC%BC%EB%A6%AC%ED%95%99%EC%8B%A4%ED%97%98%20%EB%A0%88%ED%8F%AC%ED%8A%B8%20%EB%B3%B4%EA%B3%A0%EC%84%9C%5D%20%EC%B6%95%EC%A0%84%EA%B8%B0%EC%99%80%20%EC%A0%95%EC%A0%84%EC%9A%A9%EB%9F%89_hwp_03.gif)
일반물리 實驗
2-2. 축전기와 정전용량
결과보고서
1. 측정(測定) 값
(1) r = 53mm 일 때 (극판면적 A=2809π ㎟)
d(mm)
측정(測定) 1
理論(이론)치
C(pF)
오차(%)
전위차(kV)
질량(g)
C1
(pF)
4
4
-6.20
30.38
19.52
6
4
-2.80
20.58
13.02
8
4
-1.62
15.88
9.76
10
4
-1.25
15.31
7.81
12
4
-0.95
13.97
6.51
(2) 유전체판이 있을 때, d = 6mm
매질
측정(測定) 1
理論(이론)치
C(pF)
오차(%)
전위차(kV)
질량(g)
C1
(pF)
아크릴
4
-14.0
102.9
66.73
0.25%
유리
4
-21.7
159.50
145.97
9.27%
2. 결과 및 토의
實驗결과의 오차 값이 대체적으로 점점 줄어들긴 하지만 전체적으로 볼 때 다소 부정확한 實驗이었다고 할 수 있다아 원래 實驗은 理論(이론)과는 달라 오차의 요인이 많다고 하지만, 첫 번째 측정(測定) 에서는 오차가 꽤 많이 났다. 이 實驗의 오차의 원인(原因) 중 가장 큰 요인이라 생각된다된다. 오차가 20%를 넘어서면 정확한 實驗을 하였다고 볼 수 없다. 도체판의 균형이 맞질 않아 붙였다가 간격을 벌릴 때 도체판이 한쪽으로 기울어지기 일쑤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