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미술관 관련 환경분쟁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10-21 08:43
본문
Download : 서울대 미술관 관련 환경분쟁.hwp
또한 이러한 정보를 이 수업을 듣고 있는 다른 학생들 - 본교 학생으로서 이번 분쟁과 전혀 무관하다고만 할 수 없는 - 과 공유하는 것이야말로 우리 조의…(drop)
서울대 미술관 관련 환경분쟁에 대한 자료입니다.
순서
,예체능,레포트
서울대건축분쟁15
다. 특히 미술관을 둘러싼 環境 분쟁에 관해서는 미대생들조차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이는 섣부른 판단일 수 있으며 그렇기에 최대한 객관적인 판단을 위해 이 사건을 다방면에 걸쳐 조사해야할 필요성(必要性)을 느끼게 되었다. 그래서 실제 環境파괴와 관련된 측면뿐만 아니라 건축가와 설계변경에 관련된 측면, 관련단체들의 알력관계에 관한 측면들로 나누어서 살펴보고자 했으며, 사건관련 당사자들의 동영상 인터뷰 등 생생한 자료(data) 확보에 최대한 많은 시간을 할애하였다.
Download : 서울대 미술관 관련 환경분쟁.hwp( 72 )






서울대 미술관 관련 환경분쟁
Ⅰ 서 론
1. 주제 선정 이유
2. 문제의식 제기
Ⅱ 사건일지
1. 1995년 건립발의부터 1999년 공청회
2. 2000년 環境분쟁 이슈화
3. 2002년 재협의를 거쳐 지금까지
Ⅲ 環境에 관련된 쟁점들
1. 미술관 부지 선정 이유
2. 미술관 부지의 식생 상태
1) 인공조림된 부지
2) 아카시림의 보존 가치
Ⅳ 건축가와 잦은 설계변경
1. 세계적 건축가인 렘 쿨하스의 설계
2. 세 次例 설계변경
3. 건축槪念의 주안점 變化(변화)
1) 자연친화적인 1차 설계안
2) 공간적 효율성을 극대화시킨 2차 설계안
3) 環境과 동선의 효율을 절충시킨 3차 설계안
4. 설계변경에 따른 비용증대
1) 사유지 매입 문제
2) 고가의 수입 외장재로 변경
Ⅴ 관악구청과 서울대의 대립구도
1. 분쟁의 당사자
2. 불화의 불씨가 잉태되다: 서울대와 관악구청
1) 실질적 지방자치제도 실시 이전의 양자 관계
2) 실질적 지방자치제도 실시 이후의 양자 관계
3) 미술관 건축협의의 시간적 특수성
3. 일관성 없는 관악산 지킴이: 관지모
1) 이후용 대표의 2000년 8월 이종상 박물관장과의 회동 전 입장.
2) 이후용 대표의 2000년 8월 회동 이후 입장
3) 2000년 10월 1일과 30일의 궐기대회 해명
Ⅵ 環境 분쟁 이후 變化(변화)된 상황
1. 현재 공사 진행상황
2. 관악구청의 태도 變化(변화)
Ⅶ 결론
1. 요약
2. 우리의 입장
Ⅰ 서 론
1. 주제 선정 이유
주제 선정을 위한 모임은 4월 1일 수업 후 강의실에서 이루어졌으며 이재건 학우가 발제한 ‘서울대 미술관 관련 環境 분쟁’을 주제로 최종 선정하게 되었다. 이에 너무 커다란 범위의 주제를 다루기보다 가까운 사안을 비판적 시각으로 접근해보자는 측면과 실제 현장 조사 및 자료(data) 수집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서울대 미술관을 주제로 선정하게 되었으며 조원에 미대생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전공 관련 분야라는 개인적 동기에서의 궁금증도 한 몫 하였다.
서울대 미술관은 세계적 수준의 미술관을 본교에 유치한다는 의의뿐만 아니라 정문 근처에 위치한 덕에 지역 주민의 접근이 용이하여 지歷史회의 교류를 증진시킬 목적으로 올 7월 완공을 눈앞에 두고 있다아 하지만 토의하는 과정에서 미대생을 제외한 나머지 조원은 물론이고 여러 학생들이 이에 대해 자세히 아는 바가 없으며 심지어는 서울대 미술관이 지어지고 있다는 사실조차 모르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서울대건축분쟁15 , 서울대 미술관 관련 환경분쟁예체능레포트 ,
설명
레포트/예체능
서울대 미술관 관련 환경분쟁에 대한 資料입니다.
2. 문제의식 제기
4월 8일부터 29일까지 3주간에 걸쳐 online 자료(data) 수집 과정 중 이번 環境 분쟁이 環境문제라는 성질로 표면화되었지만 있지만 내부적으로 다른 문제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오히려 그런 내부적 요인들이 분쟁의 실질적 Cause 이 아닐까하는 의혹을 갖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