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건강론] 정신장애(정신장애인)의 definition 과 정신장애(정신장애인)의 분류의 필요성, 분류기준, 분류의 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1-07 18:26
본문
Download : [정신건강론] 정신장애(정신장애인)의.hwp
[정신건강론] 정신장애(정신장애인)의 definition 과 정신장애(정신장애인)의 분류의 필요성, 분류기준, 분류의 실재
Ⅰ. 정신장애의 definition
![[정신건강론] 정신장애(정신장애인)의-7021_01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311/%5B%EC%A0%95%EC%8B%A0%EA%B1%B4%EA%B0%95%EB%A1%A0%5D%20%EC%A0%95%EC%8B%A0%EC%9E%A5%EC%95%A0(%EC%A0%95%EC%8B%A0%EC%9E%A5%EC%95%A0%EC%9D%B8)%EC%9D%98-7021_01_.jpg)
![[정신건강론] 정신장애(정신장애인)의-7021_02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311/%5B%EC%A0%95%EC%8B%A0%EA%B1%B4%EA%B0%95%EB%A1%A0%5D%20%EC%A0%95%EC%8B%A0%EC%9E%A5%EC%95%A0(%EC%A0%95%EC%8B%A0%EC%9E%A5%EC%95%A0%EC%9D%B8)%EC%9D%98-7021_02_.jpg)
![[정신건강론] 정신장애(정신장애인)의-7021_03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311/%5B%EC%A0%95%EC%8B%A0%EA%B1%B4%EA%B0%95%EB%A1%A0%5D%20%EC%A0%95%EC%8B%A0%EC%9E%A5%EC%95%A0(%EC%A0%95%EC%8B%A0%EC%9E%A5%EC%95%A0%EC%9D%B8)%EC%9D%98-7021_03_.jpg)
![[정신건강론] 정신장애(정신장애인)의-7021_04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311/%5B%EC%A0%95%EC%8B%A0%EA%B1%B4%EA%B0%95%EB%A1%A0%5D%20%EC%A0%95%EC%8B%A0%EC%9E%A5%EC%95%A0(%EC%A0%95%EC%8B%A0%EC%9E%A5%EC%95%A0%EC%9D%B8)%EC%9D%98-7021_04_.jpg)
![[정신건강론] 정신장애(정신장애인)의-7021_05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311/%5B%EC%A0%95%EC%8B%A0%EA%B1%B4%EA%B0%95%EB%A1%A0%5D%20%EC%A0%95%EC%8B%A0%EC%9E%A5%EC%95%A0(%EC%A0%95%EC%8B%A0%EC%9E%A5%EC%95%A0%EC%9D%B8)%EC%9D%98-7021_05_.jpg)
Ⅰ. 정신장애의 개념 Ⅱ. 정신장애 분류의 필요성 Ⅲ. 정신장애의 분류기준 Ⅳ. 정신장애의 분류 1. 국제질병분류에서의 정신장애 분류 2. 미국의 진단 및 통계편람에서의 분류 참고문헌
정신건강론,정신장애,정신장애인
다. 정신질환은 조기에 적절한 의학치료를 받으면 회복되어 사회생활을 할 수 있는 질병이지만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면 사회적 기능상실자가 된다 가장 예후가 나쁜 정신분열증의 경우, 치료를 받으면 회복이 22-23%, 호전이 40-50%로, 결국 사회복귀가 가능한 비율이 65-80%가 되지만, 조기에 치료를 못하게 되면 사회적 기능상실자가 된다
Ⅳ. 정신장애의 분류
2. 미국의 진단 및 통계편람에서의 분류
Download : [정신건강론] 정신장애(정신장애인)의.hwp( 82 )
순서
현재 우리나라는 제반여건상 모든 정신질환자를 대상으로 정신장애인에 포함시키기는 곤란하며 국가의 우선관리 대상인 중증 만성 정신장애인에 한정하여 장애인 범주에 포함시키고 있따
Ⅱ. 정신장애 분류의 필요성
설명
Ⅲ. 정신장애의 분류기준
reference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보고서에 의하면 중증 만성정신장애인의 기준은 진단적 일과성 정신병 상태를 제외한 모든 기질적 정신병 상태, 기타 정신병, 인격장애, 성도착 및 성적 장애, 정신발육 지체를 포함하며 불능에 대한 기준으로 사회복지시설에 수용되어 있고, 연간 진료일수 3-6개월 이상인 경우로 설정하고 있따
1. 국제질병분류에서의 정신장애 분류
정신장애인 수는 연간 진료기간을 3개월 이상으로 할 경우, 전체의 13.8%에 해당하는 164,241명이 되고, 6개월 이상으로 보면 6.4%에 해당하는 76,728명이 된다
정신장애의 characteristic(특성)이 만성화이므로 여기에서 만성 정신장애인이라는 관념이 등장하는데 이는 어떤 정신적, 혹은 정서적 장애(기질성 뇌증후군, 정신분열증, 반복성 우울증, 조울증 장애, 망상. 기타 정신병)와 더불어 일상생활의 세 가지 이상의 측면(위생 및 자기신호, 자기지시, 대인관계, 사회적 교류, 학습과 레크레이션)에서 기능적 능력의 발달과 경제적 자립을 저해하는 만성적인 기타 다른 장애를 갖고 있는 사람들을 말한다. 정신장애의 관념은 입원하여 정신질환을 치료한 후 퇴원하더라도 지속적으로 치료와 재활서비스를 받아야 하는 사회적 기능이 저하된 사람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