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인석보 introduction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9-30 04:08
본문
Download : 월인석보 소개.hwp
또 세종 때 간행한 책을 세조 때 다시 편집하여 초기의 한글 변천·형태를 살필 수 있고, 조선 초기의 중요한 경전이 취합되어 있어서 당시 불교의 수용태도를 짐작할 수 있다아
월인석보 내용분석
옛, 헤아릴 수 없이 먼 전 세상 시절에 한 보살이 왕이 되어 계시어, 나라를 아우에게 맡기시고, (부처의) 도리를 배우러 밖으로 나아가시어 구담 바라문을 만나시어 자기의 옷(왕복)을 벗고, 구담의 옷을 입으시어 깊은 산에 들어가 과실과 물을 잡수시고, 고요히 앉아 참선하시다가, (자기가 다스리던)나라에 빌 먹으로 오시니, (예전 왕인 줄을) 모두 몰라보았는데, (사람들이 그를) 소구담이라 (그담의 제자이므로) 하더라. - 보살의 출가-
보살이 성 밖의 사탕수수 밭에 불도를 닦는 깨끗한 집을 만들고 혼자 앉아 계셨는데, 도둑 오백명이 관청 재물을 훔쳐 정사 곁으로 지나가니 그 도둑이 보살의 전 세상 원수이더라. 이튿날 나라에서 도둑의 발자취를 밟아가서 그 보살을 (도둑을 오인하여) 잡아 나무에 몸을 꿰어 두었더니, 대구담 (보살의 선생)이 신통한 눈으로 보고 허공에서 날아와 묻되, 그대 자식 없더니, (이렇게 죽는 것은)무슨 죄이요? 보살이 대답하시되, 이미 죽게 된 나인데 자손을 의론하리요? 그 왕(보살의 아우)이 사람을 시켜 활로 쏘아 죽이니라. - 수도하던 보살의 죽음-
대구담이 슬퍼하여…(투비컨티뉴드 )
레포트/인문사회
옛[1]
월인석보 introduction
Download : 월인석보 소개.hwp( 85 )
월인석보 소개옛[1] , 월인석보 소개인문사회레포트 ,
다. 세조를 보필하여 이 책을 편찬한 사람은 신미(信眉)·수미(守眉)·김수온(金守溫) 등으로, 특히 권1 앞에 《훈민정음》 <해본>이 실려 있어서 그 가치가 더욱 크다.
설명
,인문사회,레포트
월인석보 introduction



순서
1459년(세조 5) 세조가 부왕인 세종과 소헌왕후 및 덕종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과 《석보상절(釋譜詳節)》을 합편한 책. 《월인천강지곡》의 각 절은 본문이 되고, 그에 해당하는 내용의 《석보상절》을 설명(說明)부분으로 하여 편찬했는데, 조권(調卷)과 문장에 상당한 수정이 가해졌다. 훈민정음 창제 후 처음 나온 불경언해서(佛經諺解書)로, 국어사에 있어서 귀중한 문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