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약젼셔를 통해 본 초기 성경번역 - 초기국외번역본과의 마가복음 1장 비교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0-31 11:57
본문
Download : 신약젼셔를 통해 본 초기 성경번역 -.hwp
본고에서는 먼저 『신약젼셔』발간에 영향을 미친 초기 국외의 성경 번역 작업을 로스 번역본과 이수정 번역본을 중심으로 번역과정, 번역저본(底本), 번역방법 그리고 의의와 문제가되는점 들을 살펴보였다.
Ⅵ. 『신약젼셔』(1906년) 발간 경위
로스 번역본의 가장 큰 의의는 신의 칭호를 ‘하나님’으로 번역한 것이다.
Ⅰ. 들어가는 말
을 찾아낸 로스의 노력은 한국 개신교의 신명을 결정짓는데 큰 공헌을 하였다. 그 후 10여년의 작업을 통해 1900년에 『신약젼셔』를 출간하고 그해 9월 9일 정동제일교회에서 출판기념 감사예배를 드린다.
3) 구약성경의 번역기간 : 1903년 8월- 1910년 4월
- 한불자전을 日本 에서 수입하여 참고 : 의주의 서북지역 방언이 남쪽의 방언과 다름을 인식하게 되었다. : 한국 문화에 없는 단어 등에 대하여
.
2) formula위원회의 신약성경 발간기간 : 1897-1904
2) 위원회 번역작업
1. 국외의 한글 성경 번역
2) 번역본 초판 성경 종류와 시기 최성일, “로스역본이 한국교회에 미친 영향”, (한국장로교 신학회 제21회 학술발표자료(資料)집, 2013) 90.
② 신약번역 완료하고 수정 마침 : 1879. 4월 - 1881.8월
연도별 초판 성경의 종류와 시기는 아래와 같다.
다.
④ 이를 다시 로스, 이응찬이 재 수정(3차 번역)하고
신약젼셔를 통해 본 초기 성경번역 - 초기국외번역본과의 마가복음 1장 비교연구
- 단순화 기간 : 1897-1902
신약젼셔를 통해 본 초기 성경번역 - 초기국외번역본과의 마가복음 1장 비교연구
순서
- 1882년 : 누가복음, 요한복음
에서 시대구분을 아래와 같이 재설정하였다. 1890년 아펜젤러역 누가복음은 ‘하ㄴ님’을 사용함으로 구약신약성서가 출판되는 1906년까지 신명논쟁을 불러일으켰다.
.
신약젼셔를 통해 본 초기 성경번역 - 초기국외번역본과의 마가복음 1장 비교연구
- 그리스어 성경을 참고하여 번역하였다. 『개역 그리스어 성경』에는 옥스퍼드판, 캠브리지판, 웨스트코트-호트판이 있었는데 ‘공인 본문’을 존중한 팔머(E.Palmer)의 옥스퍼드판이 저본으로 사용된 것으로 사료된다 1882년 3월 24일자 Ross letter to Wm. Wright, 『대한성서공회사』 (서울:대한성서공회, 1993),55.재인용
그는 1935년 『The Korea Mission Field』 W. D. Reynolds, “Fifty Years of Bible Translation and Revision, 『The Korea Mission Field』 vol ⅩⅩⅩⅠ, (1935년6월), 116-118.
1) 한국선교사들에 의한 개인적 번역기간 : 1887-1900
④ 불변화사(μεν, δε, και 등)가 단순 연결로 사용될 때는 번역하지 않는다.
③ 필요한 경우에는 의역을 한다.
“The Ross Version of the New Testament was completed and published in 1887. It was thus the circulation of Gods Word which introduced Christianity into the Hermit Kingdom and it is recognised that the wonderful progress of the Gospel in Northern Korea was due in no small measure to the seed sowing of those early days. It is worthy of note that today in the city of Wiju there is a strong church of 1,500 believers with no missionary resident in the city.
Ⅰ. 들어가는 말
.
1) 준비 기간(개인 및 위원회 작업) : 1887-1893
- 1881년 7월 매킨타이어가 NBSS(W.J. Slowan)에 보낸 편지에 의하면 신약을 네 번째 수정하고 있었다. 1900년 판 『신약젼셔』는 번역자회의 개정을 거쳐 1904년 개정판을 내고 재수정 작업을 거쳐 마침내 1906년 4월 14일에 『신약젼셔』(1906년) 공인역(Authorized Edition)을 발간하기에 이른다.
Ⅵ. 『신약젼셔』의 의의와 問題點
재판 종류와 시기
한문『文理』 역본과 함께 1881년 여름 영국에서 발간된 『개역 그리스어 성경』(옥스퍼드판)이었다.
초기 국내의 한글 성경 약사(略史)를 살펴보면, 1887년 2월 7일 선교사들이 모여 성경 번역을 위한 위원회를 구성, 준비기간을 거쳐 1890년 6월부터 본격적으로 활동을 스타트한다.
- 1884년 : 마가복음
① 본문의 뜻과 일치하면서 한국어 어법에도 맞는 절대 직역을 한다.
신약젼셔를 통해 본 초기 성경번역 - 초기국외번역본과의 마가복음 1장 비교연구 신약젼셔를 통해 본 초기 성경번역 - 초기국외번역본과의 마가복음 1장 비교연구 Ⅰ. 들어가는 말 Ⅱ. 초기 성경번역 소사(小史) Ⅲ. 초기 국외번역본 Ⅵ. 『신약젼셔』(1906년) 발간 경위 Ⅴ. 『신약젼셔』와 국외번역본과의 『마가복음 1장』 비교 Ⅵ. 『신약젼셔』의 의의와 문제점 Ⅶ. 맺는 말
4) 번역 방법 『대한성서공회사』, 55.
2) 日本 의 이수정(Rijutei) : 1883-1885
Ⅲ. 초기 국외번역본
신약젼셔를 통해 본 초기 성경번역 - 초기국외번역본과의 마가복음 1장 비교연구
“로스 씨는 신약성서 전체를 한국어로 번역하는 작업을 마쳤습니다만 이곳에서는 아무 쓸 모가 없지 않을까 염려됩니다. 중국(China)의 고전에 익숙한 한국의 지식인들에게는 문리성경이 읽혀졌는데 한글 성경 번역에 큰 영향을 미친 것은 심문리본 성경이었다. W. D. Reynolds, “Translation of the Scriptures into Korean 『The Korean Review』 vol 6(1906. 5월호), 167.
3) 번역저본
① 한문 성경에서 번역 스타트 : 1877년 여름 - 1879년 봄(안식년 휴가 전)
⑤ “Baptism, Sabbath 등은 원어대로 두고, ”Passover 등은 “넘넌절”과 같이 한 국어로 번역하였다.” 『대한성서공회사Ⅰ』, 24-25, 이만열, “한글어 성경 번역의 초기 역사와 한국교회”, (한국장로교 신학회 제21회 학술발표자료(資料)집, 2013) 17.에서 재인용
- 1885년 : 마가복음
Ⅲ. 초기 국외번역본
2. 국내의 한글 성경 번역





- 재조직 기간 : 1902-1906
Ⅶ. 맺는 말
- 1883년 : 누가복음, 요한복음
③ 2차 번역본을 제 1 번역 인이 정서하면
1) 만주의 로스 : 1875- 1889
6) 로스 번역본의 특징과 의의 최성일, 88.
Ⅱ. 초기 성경번역 소사(小史)
에서 한글 성경 초기 번역사를 아래와 같이 구분하였다. - 이응찬을 비롯한 서상륜, 김진기 등 6-7명의 한국인 번역자들이 한문으로 번역 된 대표자역본(Delegates Version)인 『新約全書文理』 “중국(China)어 성경 역본은 문체에 따라 구분된다 중국(China) 고전의 경서체로 된 문리본(文理本)과 일반 민중들이 사용하는 구어체의 백화문본(白話文本)으로 크게 나눌 수 있따 문리본은 천주교의 교리서와 함께 개신교의 초기 성경도 이 문체로 번역되었다.” Dr Horace G. Underwood letter to Dr Ellinwood on Apr, 16, 1886. 김인수 옮김 『언더우드 목사의 선교편지(1885-1916)』 (서울 : 장로회 신학대학교 출판부, 2002), 638.
설명
- 로스는 이 번역 원고를 가지고 NBSS 본부로부터 복음서 인쇄 지원 약속 받음.
5) 번역 원칙 1883년 1월 24일자 Ross letter to Wm. Wright, 『대한성서공회사』 (서울:대한성서공회, 1993), 54.재인용
1. John Ross 번역본
를 대본으로 마태복음에 서 로마서까지 번역하였다. 그리고 최초 공인역인 『신약젼셔』(1906년)가 탄생하기까지의 과정과 그 의의 및 문제가되는점 을 1895년부터 1938년까지 가장 오랜 기간 성경번역 작업에 관여한 W. D. Reynolds의 기고문들과 각종 연구 자료(資料)를 중심으로 요약하였다.
Ⅱ. 초기 성경번역 소사(小史)
레포트 > 기타
W. D. Reynolds는 한글 성경 번역을 시대적으로 구분하는 노력을 기울였다. 모리슨 역을 비롯하여 1860 년대까지 이뤄진 번역 성경이 심문리에 속한다면 1885년에 간행된 그리피스존 역본 신약전서가 천문리에 속한다.
1) 번역 시기 『대한성서공회사』 (서울:대한성서공회, 1993), 49-53.
③ 로스가 번역, 출판을 맡음 : 1881.9월 - 1886년 가을
⑤ 최종적으로 로스가 그리스어 성경과 그리스어 성구사전, 메이어(Meyer)의 주석 등을 참조, 대조하여 어휘를 통일하여 4차 번역하는 방식 취하였다.
신약젼셔를 통해 본 초기 성경번역 - 초기국외번역본과의 마가복음 1장 비교연구
② 영어 역본보다는 『개역 그리스어 성경』을 기준으로 한다. 1894년 알렌 의료선교사와 1895년 언더우드
- 『예수셩교젼셔』 번역 완료하였다.
- 매킨타이어가 이응찬, 백홍준 등과 함께 신약전체 번역을 마쳤다.
- 1885년 : 요한복음과 에베소서 합권
① 전직 한국인 관리였던 학자가 『漢文文理성경』에서 1차 번역하였고
그러나 로스 번역본은 세로로 내려쓰기를 하면서 모든 문장에서 띄어쓰기를 하지 않으면서 발음 되는 대로 적어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고 구개음화 현상이 일어나지 않은 평안도식 표기를 사용하여 다른 지역 사람들이 이해하는데 약간의 장애가 되었을 것이고 고어체가 잔존하여 아래와 같이 미국 선교사들의 배척의 대상이 되었다.
② 로스, 이응찬이 그리스어 성경을 참고하면서 2차 번역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신약젼셔』(1906년)의 마가복음 1장을 로스 번역본 및 이수정 번역본과 상호 대조, 비교함으로 초기 성경번역의 현장감과 발전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문리본 성경이 중국(China)의 지식인을 상대로 번역된 것이라면 19세기 후반에 이르러 일반 민중을 상대로 백화문으로 번역된 성경도 간행되었다.
W. D. Reynolds는 Ross 번역본에 대해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그는 1906년 5월호 『The Korean Review』에 기고한 글 “Translation of the Scriptures into Korean W. D. Reynolds, “Translation of the Scriptures into Korean, 170.
- 조직화 기간 : 1893-1896
- 1883년 : 마태복음, 마가복음, 사도행전
*** 1887년 : 예수셩교젼셔
Download : 신약젼셔를 통해 본 초기 성경번역 -.hwp( 76 )
Ⅴ. 『신약젼셔』와 국외번역본과의 『마가복음 1장』 비교
레이놀드의 보고서에서 의주에는 상주 선교사가 없었음에도 1,500명에 달하는 신앙공동체가 형성되었음을 언급하고 있는데 이는 한국 개신교의 근원이 로스의 만주 신앙공동체의 영향을 받았고 권서인들이 그들에게 전달된 로스 번역본의 성경에 의해 자생적으로 이루어졌음을 말해준다. 그 뒤 중국(China)에서는 좀 더 쉬운 문체가 나오게 되어 이를 천문리(淺文理)라 했는데 이와 구분하여 전자를 심문리(深文理)라고 했다. 로스는 성경을 번역하며 이전에 ‘上帝(상제)’ 이외에 가톨릭에 의한 ‘天主(천주)’가 introduce되었음을 알면서도 토착 명칭인 하나님(Hannoim) Ross, 『History of Korea』, 355. 최성일, 88.에서 재인용
⑥ 『개역 그리스어 성경』을 그대로 따른다. 한국 북쪽지방에서나 이것을 만든 만주에 있는 한국사람 들 사이에서만 한정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겁니다. 『예수셩교문답』과 『예수셩교요령』에서는 ‘하느님’으로 표기되어 1882년 누가복음과 요한복음에서는 ‘하느님’으로 표기하였으나 1883년부터는 ‘하나님’이 사용되었다. : 요 8:1-11, 눅 16:9-20은 사본 상의 문제로 투비컨티뉴드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