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과학] [experiment(실험)결과 보고서] Wheatstone Bridge 를 이용한 미지저항 측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0-25 05:46
본문
Download : [자연과학] [실험결과 보고서] Wheatstone Bridge 를 이용한 미지저항 측정.hwp
설명
순서
[자연과학] [실험결과 보고서] Wheatstone Bridge 를 이용한 미지저항 측정 , [자연과학] [실험결과 보고서] Wheatstone Bridge 를 이용한 미지저항 측정기타실험결과 , 자연과학 실험 Wheatstone Bridge 를 이용한 미지저항 측정
[자연과학] [experiment(실험)결과 보고서] Wheatstone Bridge 를 이용한 미지저항 측정
Download : [자연과학] [실험결과 보고서] Wheatstone Bridge 를 이용한 미지저항 측정.hwp( 83 )
실험결과/기타
![[자연과학]%20[실험결과%20보고서]%20Wheatstone%20Bridge%20를%20이용한%20미지저항%20측정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E%90%EC%97%B0%EA%B3%BC%ED%95%99%5D%20%5B%EC%8B%A4%ED%97%98%EA%B2%B0%EA%B3%BC%20%EB%B3%B4%EA%B3%A0%EC%84%9C%5D%20Wheatstone%20Bridge%20%EB%A5%BC%20%EC%9D%B4%EC%9A%A9%ED%95%9C%20%EB%AF%B8%EC%A7%80%EC%A0%80%ED%95%AD%20%EC%B8%A1%EC%A0%95_hwp_01.gif)
![[자연과학]%20[실험결과%20보고서]%20Wheatstone%20Bridge%20를%20이용한%20미지저항%20측정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E%90%EC%97%B0%EA%B3%BC%ED%95%99%5D%20%5B%EC%8B%A4%ED%97%98%EA%B2%B0%EA%B3%BC%20%EB%B3%B4%EA%B3%A0%EC%84%9C%5D%20Wheatstone%20Bridge%20%EB%A5%BC%20%EC%9D%B4%EC%9A%A9%ED%95%9C%20%EB%AF%B8%EC%A7%80%EC%A0%80%ED%95%AD%20%EC%B8%A1%EC%A0%95_hwp_02.gif)
![[자연과학]%20[실험결과%20보고서]%20Wheatstone%20Bridge%20를%20이용한%20미지저항%20측정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E%90%EC%97%B0%EA%B3%BC%ED%95%99%5D%20%5B%EC%8B%A4%ED%97%98%EA%B2%B0%EA%B3%BC%20%EB%B3%B4%EA%B3%A0%EC%84%9C%5D%20Wheatstone%20Bridge%20%EB%A5%BC%20%EC%9D%B4%EC%9A%A9%ED%95%9C%20%EB%AF%B8%EC%A7%80%EC%A0%80%ED%95%AD%20%EC%B8%A1%EC%A0%95_hwp_03.gif)
Wheatstone Bridge 를 이용한 미지저항 측정(測定)
[1] 실험값 (결과)
(1) 미지저항의 선택 1
- 색띠를 읽어 알아낸 미지저항의 저항값 : 12000 Ω
- 멀티미터를 이용하여 측정(測定) 한 미지저항의 저항값 : 11840Ω
(Ω)
저항선의 위치
(Ω)
(%)
(cm)
(cm)
991
1회) 7.5
92.5
12222.3
3.23
2회) 7.5
92.5
12222.3
3.23
3회) 7.5
92.5
12222.3
3.23
mean or average(평균)
12222.3
3.23
(Ω)
저항선의 위치
(Ω)
(%)
(cm)
(cm)
10000
1회) 45.9
54.1
11786
0.46
2회) 45.4
54.6
12026.4
1.57
3회) 45.6
54.4
11929.8
0.76
mean or average(평균)
11914.1
0.63
(2) 미지저항의 선택 2
- 색띠를 읽어 알아낸 미지저항의 저항값 : 27000 Ω ...
Wheatstone Bridge 를 이용한 미지저항 측정(測定)
[1] 실험값 (결과)
(1) 미지저항의 선택 1
- 색띠를 읽어 알아낸 미지저항의 저항값 : 12000 Ω
- 멀티미터를 이용하여 측정(測定) 한 미지저항의 저항값 : 11840Ω
(Ω)
저항선의 위치
(Ω)
(%)
(cm)
(cm)
991
1회) 7.5
92.5
12222.3
3.23
2회) 7.5
92.5
12222.3
3.23
3회) 7.5
92.5
12222.3
3.23
mean or average(평균)
12222.3
3.23
(Ω)
저항선의 위치
(Ω)
(%)
(cm)
(cm)
10000
1회) 45.9
54.1
11786
0.46
2회) 45.4
54.6
12026.4
1.57
3회) 45.6
54.4
11929.8
0.76
mean or average(평균)
11914.1
0.63
(2) 미지저항의 선택 2
- 색띠를 읽어 알아낸 미지저항의 저항값 : 27000 Ω
- 멀티미터를 이용하여 측정(測定) 한 미지저항의 저항값 : 26666 Ω
(Ω)
저항선의 위치
(Ω)
(%)
(cm)
(cm)
10000
1회) 26.9
73.1
27174.7
1.908
2회) 27.2
72.8
26764.7
0.370
3회) 27.1
72.9
26900.3
0.879
mean or average(평균)
26946.6
1.05
(Ω)
저항선의 위치
(Ω)
(%)
(cm)
(cm)
98400
1회) 80.2
19.8
24293.2
8.90
2회) 80.4
19.6
23988.1
10.04
3회) 80.0
20.0
24600
7.75
mean or average(평균)
24293.8
8.90
(3) 미지저항의 선택 3
- 색띠를 읽어 알아낸 미지저항의 저항값 : 82000 Ω
- 멀티미터를 이용하여 측정(測定) 한 미지저항의 저항값 : 83100 Ω
(Ω)
저항선의 위치
(Ω)
(%)
(cm)
(cm)
10000
1회)…(drop)
자연과학,실험,Wheatstone,Bridge,를,이용한,미지저항,측정,기타,실험결과
[자연과학] [experiment(실험)결과 보고서] Wheatstone Bridge 를 이용한 미지저항 측정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