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에 대한 고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4-14 04:13
본문
Download : 수능에 대한 고찰.hwp
그러나 김대중, 노무현 政府에서 단행된 위와 같은 문제들이 수능지상주의를 해결한 것은 아니었다. 수능으로 인해 대학 입시가 12년간의 학업 성취도를 보는 것이 아니라, 수능 `한방`으로 결정된다는 문제였다. 노무현 政府에서도 대학 입시에서 내신과 논술 등의 반영비율을 높이기 위해 직·간접적으로 개입해 왔다.
,인문사회,레포트
●수학능력 시험
●도입배경
●experiment(실험)평가
●연도별 대학수학능력시험
●채점과 운영
●규정
●수능관련 논란
2. 수능지상주의
수능은 애초에 도입될 때부터, 수능지상주의 논란을 불러왔다. 대부분의 수시 선발생들은 여전히 수능의 영향을 받으며, 정시의 비율은 아직도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몇몇 해법만으로 수능지상주의는 해결되지 않았다. 특기적성만 있으면 대학에 보내주겠다는 이해찬 당시 교육부장관은 현실을 무시한 정책으로 당시 수능 시험 대상자들에게 비판을 받았으며, 고등학교 평준화 정책은 자립형 사립고등학교, 외국어 고등학교의 명문고등학교화(化)…(To be continued )
순서
●수학능력시험
레포트/인문사회
수능에 대한 고찰●수학능력시험 , 수능에 대한 고찰인문사회레포트 ,






수능에 대한 고찰
설명
Download : 수능에 대한 고찰.hwp( 33 )
수능에 대한 고찰
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 政府는 수능의 절대화를 막기 위해 여러 가지 제도를 도입해 왔다. 김대중 政府 시절에는 수능 외에도 특기적성 관련 선발 비중을 높이려고 노력했으며, 고등학교 비평준화를 폐지하여 중학교 때부터 수능에 매달리는 현상을 방지했다. 2008년부터는 등급제를 도입하여 수능을 `자격고시화`하는 첫걸음을 내딛기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