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말론적 희망의 신학 - J. Moltman을 중심으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2-15 04:06
본문
Download : 종말론적 희망의 신학 - J Moltman을 중심으로.HWP
2. 한스 에반트의 헤겔 철학
에반트로부터는 헤겔의 철학적 신학, 특별히 “하나님 죽음”의 관념을 배운다.” 라고 말하는데 이는 그가 무신론을 말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그대 사회의 無神性과 그 無神性으로 인한 인간과 세게의 고통을 말하려는 것이었다. 즉, 근대 사회의 모습은 마치 그리스도께서 십자가에서 외치던 “하나님 不在”의 절규와 같은 것으로 하나님이 계시지 않는 모습을 하고 있다는 것으로서 그것을 그는 하나님의 죽음이라는 관념으로 표현하였던 것이다.
몰트만의 모든 신학 전반을 다룰 수는 없고 그의 종말론이 희망과는 어떻게 연결되어 있고 또 많은 논란을 불러 일으키고 있는 E. 블로호의 “희망의 철학”과의 관계를 고찰함으로서 몰트만의 신학 세계에 접근하고자 한다. 이러한 종말론적 사고에 자극받은 몰트만은 “현재적, 현실적 의미를 갖지 않는 종말론은 무가치하다.
MOLTMANN
I. 서 론
II. 본 론
A. 몰트만의 신학적 배경
1. 오토 베버의 개혁주의 전통
2. 한스 에반트의 헤겔 철학
3. 에른스트 볼프의 사회 윤리학
B. 몰트만의 “종말론적 신학”
1. 전통적 종말론
2. 종말론의 재발견
C. 희망의 신학
1. 신앙과 희망
2. future 를 alteration(변화) 시키는 희망
D. E. 블로호의 “희망의 철학”과의 관계
III. 결 론
이러한 칼빈주의적 전통 외에도 베버의 종말론이 몰트만을 크게 자극시켰는데 그에 의하면 종말론이란 세계사의 마지막에 올 초자연적, 신비적 사건이 아니라 현재적인 것으로 에수 그리스도와 함께 이미 처음 되었으며 성령의 역사(歷史)를 통하여 지금도 실현되어가고 있다는 것이다.”고 말한다.MOLTMANN , 종말론적 희망의 신학 - J. Moltman을 중심으로인문사회레포트 ,
종말론적 희망의 신학 - J. Moltman을 중심으로
,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Download : 종말론적 희망의 신학 - J Moltman을 중심으로.HWP( 75 )
설명






다. 여기서 몰트만은 현대사회에서의 “하나님 不在”의 문제를 극복함으로서 “하나님의 다스리심”의 문제를 해결하려 했던 것이다…(투비컨티뉴드 )
몰트만의 모든 신학 전반을 다룰 수는 없고 그의 종말론이 희망과는 어떻게 연결되어 있고 또 많은 논란을 불러 일으키고 있는 E. 블로호의 “희망의 철학”과의 관계를 고찰함으로서 몰트만의 신학 세계에 접근하고자 한다.
일찌기 헤겔은 그의 「신앙과 지식(Glauben und Wissen)」에서 “하나님은 죽으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