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적이익과 공적 의로움의 문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7-01 15:22
본문
Download : 사적이익과 공적 의로움의 문제.hwp
그는 공적 의로움을 전제하지 않는 개인의 이익 추구에 대해, 평화로운 공동체 사회의 유지에 해를 끼칠 뿐만 아니라 사회적 갈등을 조성하는 요인으로 생각했다. 이 사람은, 자신이 자리를 양보하기 싫다고 옆에 앉은 사람을 괜히 쿡쿡 찔러대거나 목소리 높여서 꾸짖고자 한다. 유교의 창시자인 공자는 사적인 이익을 부정하지는 않지만, 공적 의로움에 앞선 사적인 이익 추구를 경계해야 할 것으로 생각했다. 하지만, 만약 그 사람이 공적 이익을 실현함으로서, 스스로 어떠한 뿌듯함과 자부심을 느꼈다면, 그 역시 정신적으로 자신에게 이익이 돌아옴으로써 결국 그것은 사적 이익으로 치환되기도 할 것이다.
Download : 사적이익과 공적 의로움의 문제.hwp( 63 )
사적이익과 공적 의로움의 문제
설명





사적이익과 공적 의로움의 문제
서구화 된 사회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는 이기주의가 만연화 된 사회를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이기주의 (利己主義)의 definition 를 내려 보자면 자기 자신의 이익만을 꾀하고, 사회 일반의 이익은 염두에 두지 않으려는 태도를 말한다.
.
사적이익과 공적 의로움의 문제
대부분의 사람들은 유학자들은 공적인 이익만을 추구 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는 유학 사상을 단편적인 만을 바라본 것이다. 이러한 공자의 사상은 후에 많은 유학자들에게 공적 의로움과 사적 이익이라는 두 논의에 대하여 많은 effect(영향) 을 미쳤다. 스스로는 공적 이익을 실현했다고 자부할지 모르지만, 결국 이 사람의 공적 이익이란 것은 옆에 앉은 사람의 희생을 강요함으로써 실현되어진다. 그는 사적 이익을 중시하는 china(중국) 춘추 시대의 위나라가 대량에 천도한 이후의 칭호로 양(梁)나라 혜왕이라고 불렸던 양혜왕(梁惠王)에게 사적 이익보다 어짊과 의로움 등 공공의 이익 추구를 권유했다. 지하철에서 빈자리가 났을 때 그 자리를 차지하려 하는 것은 사적 이익의 실현으로 설명(explanation)할 수 있으며, 그 빈자리 옆에 노약자나 임산부가 서있을 경우, 그들에게 자리를 양보하는 것은 공적 이익의 실현으로 설명(explanation)할 수 있다 이처럼, 사적 이익과 공적 이익은 많은 순간 제로섬이 된다 지하철에서 자리를 양보하는 행위는 곧, 공적 이익 을 실현하기 위해서 사적 이익에 대한 양보를 감수하여야 함을 말한다. 또한 건강한 공동체 사회가 지속되기 위해 공적 의로움이 강화되어야 할 것으로 여겼다. 그런데, 우리는 어떤 인간 군상들에게서, 자기희생 하나 없이 사적 이익과 공적 이익의 동시실현을 추구하고자 하는 모습을 간혹 보곤 한다. 특히 그는 사회의 지도층에 속하는 선비는 사적이익을 중시하는 민중들
.
2.1 공적 의로움을 중시하는 관점
다. 어쩌면 인간이 하는 행동들은 대부분 사적 이익과 공적 이익으로 나누어 설명(explanation)해볼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사적 이익과 공적 이익의 동시적 실현은, 일정한 자기희생을 필요로 한다. 이처럼 공적이익과 사적이익은 어느 한 쪽으로 치우쳐서 이익을 취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이를 둘 다 동시에 실현을 하려는 경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공자의 이상을 현실 정치에 반영하고자 했던 맹자 역시 사적 이익보다 공적 의로움을 중시했다. 즉, 사적인 이익을 취하는 것이다. 사적인 이익보다 공적인 의로움을 중시하면서도 사적인 이익을 배제하지 않았던 선진시대의 유학자들의 다양한 관점을 알아보자.
사적이익과 공적 의로움의 문제
사적이익과 공적 의로움의 문제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사적이익과 공적 의로움의 문제 사적이익과 공적 의로움의 문제 사적이익과 공적 의로움의 문제 사적이익과 공적 의로움의 문제
사적이익과 공적 의로움의 문제
사적이익과 공적 의로움의 문제
.
순서
전통적으로 상당수 유학자들은 개인의 이익 문제에 대해 자유주의자들과 다른 관점을 유지했다. 그들은 개인의 이익보다 공적인 의로움을 중시했다. 따라서 공자는 지위의 높낮이에 상관없이 이상적인 인간상인 군자를 의리에 밝고 군자와 대비되는 소인을 사사로운 이익에 밝은 존재로 보고 공익으로서의 의리를 실현하는 군자의 길을 중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