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판소리와 허저족의 이마칸 비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6-09 22:36
본문
Download : 한국의 판소리와 허저족의 이마칸 비교.hwp
그리고 이마칸의 청중은 이마칸나위가 훌륭하게 창을 하면, 그 때마다 ‘커이! 커이!’ 등과 같은 감탄사로써 창의 흥취를 돕는다.
한국의 판소리에서는 구연자를 광대로 지칭하며, 고수의 북 반주에 맞춰 서사적 내용의 이야기를 선 채로 노래한다. 샤만교인 china의 동북아 일대, 그리고 한국의 경우도 의식의 거향은 거의 밤에 이뤄지기 때문일것이다 그러나 현재 이마칸은 주로 밤 시간대에 구연되기는 하지만 그 구연의 계기는 혼인잔치와 같은 데서 이마칸을 즐기려는 목적에서 행해지고 있어, 점차 놀이적이고 유흥적인 데로 그 구연의 계기가 점차 변모해 왔음을 알 수 있다 이와 함께 구연 장소 역시 제의적 공간에서 일상적 공간으로의 전환이 일어났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설명
한국의 판소리와 허저족의 이마칸 비교
.
한국의 판소리와 허저족의 이마칸 비교 한국의 판소리와 허저족의 이마칸 비교 한국의 판소리와 허저족의 이마칸 비교
한국의 판소리와 허저족의 이마칸 비교
다. 또한 이마칸나위는 몸 동작을 통해 서사시의 내용을 간단하게 표현해내는 행위를 하지 않는다. 그리고 그 구연하는 시간대는 대체로 밤이다. 서서 구연하는가, 발림이 있는가, 반주자가 따로 있는가 등에서 볼 때 이마칸은 이것을 결여하고 있고 판소리는 모두 갖추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전문적인 반주자인 고수가 있고, 그 고수의 역할이 연출자적 성격을 갖는다는 점에서 볼 때 판소리는 전문적이라 할 수 있고, 이마칸은 물론 전문적인 구연자가 있기는 하지만 판소리보다는 덜 세련된 구비서사시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이마칸의 구연형태는 판소리 광대가 혼자서 소리연습을 하는 구연형태와 매우 유사한 점이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
한국의 판소리와 허저족의 이마칸 비교
구연형태는 구연자의 자세, 발림, 추임새, 반주자의 기능, 반주악기, 청중의 참여, 말과 창의 교체양상 등의 검토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한국의 판소리와 허저족의 이마칸 비교
1) 구연형태의 비교
Download : 한국의 판소리와 허저족의 이마칸 비교.hwp( 37 )
.
향유양상은 구연 시기나 구연의 계기, 구연 장소, 구연 분위기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마칸의 구연 시기 및 구연의 계기는 여자들이 사랑방에 모여서 사냥 나간 남자들의 무사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순서
한국의 판소리와 허저족의 이마칸 비교
한국의 판소리와 허저족의 이마칸 비교
허저족의 이마칸에서는 구연자를 ‘이마칸나위’라고 하는데, 그는 이마칸의 작품을 앉은 채로 노래한다. 허저족은 china 북방 민족의 하나로 흔히 만주족의 일파로 알려져 있다 허저족은 부족의 근원이 매우 복잡하지만, 고대 한국의 선주민족과 이질적인 관계에 놓인 민족이 아니라는 것은 분명하다. 이것은 이마칸의 구연이 주로 주술적 의식과 관련해서 이뤄지는 것과 상관성이 있다고 보여진다. 허저족을 택한 이유는 우리와 민족적 천연석이 있는 민족의 data(자료)를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봤다. 이 때 반주자는 없으며, 반주악기 또한 없다.
우리는 한국의 판소리와 china소수민족 중의 하나인 허저족에 전승되고 있는 아마칸을 비교하여 구비서사시의 변천과정에 대한 일반론을 제시하겠다.
Ⅱ. 본론
2) 향유양상의 비교
귀환을 기원할 때, 악천후가 진전되기를 기원할 때 등이다. 여러 민족의 data(자료)를 대상으로 하기보다는 특정 민족의 data(자료)와 우리의 판소리를 비교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는 구체적인 성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여러 민족을 다룬다는 것 자체가 능력이나 지면의 관계상 허락되지 않기에 그 비교 대상을 허저족의 이마칸으로 한정한다. 이제부터 발표를 통하여 비교논의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비교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