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理論(이론)및실제] 정신分析적 상담理論(이론), 인간중심적 상담理論(이론), 게슈탈트 상담理論(이론)의 비교설명(expl…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4-13 06:27
본문
Download : 정신분석적, 인간중심적, 게슈탈트상담이론 비교 분석과 비교표.hwp
분명 상담과 심리치료 간에는 중첩되는 부분이 많아서 theory 적 구분을 하기 어렵고, 개념(槪念)적으로는 구분되지만 상담서적이나, 논리는 상담theory 에서 심리치료theory 을 그대로 열거하고 있다
다. [참고자료] 강봉규, 현대상담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2001 이현림, 상담이론과 실제, 원미사, 2007 Ronald T. Hyman, 권낙원 역, 상담이론과 실제, 원미사, 2000 이현림, 상담이론과 실제, 양서원, 2008 허창범, 상담이론과 상담 실습, 태영출판사, 2008 상담이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1994
5. 게슈탈트 상담theory 의 평가 - 공헌 및 제한점
1. 인간관
[참고data(資料)] 강봉규, 현대상담理論(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2001
Ⅵ. 정신분석적 상담theory , 인간중심적 상담theory , 게슈탈트 상담theory 의 비교분석 - [표]
Ronald T. Hyman, 권낙원 역, 상담理論(이론)과 실제, 원미사, 2000
Ⅱ. 상담의 개념(槪念)과 定義(정이)





[상담理論(이론)및실제] 정신分析적 상담理論(이론), 인간중심적 상담理論(이론), 게슈탈트 상담理論(이론)의 비교설명(explanation)과 비교표
4. 게슈탈트 상담의 과정과 방법
이현림, 상담理論(이론)과 실제, 양서원, 2008
Download : 정신분석적, 인간중심적, 게슈탈트상담이론 비교 분석과 비교표.hwp( 25 )
3. 정신분석적 상담의 과정과 방법
4. 인간중심적 상담theory 의 평가 - 공헌 및 제한점
Ⅳ. 인간중심적 상담theory - Person Centered Therapy
Corsini의 The current Psychotherapies에서는 상담자와 심리 치료가는 경청, 질문, 해석, 조언, 정보제공, 평가, 지지, 지시 등 근본적으로 동일한 행동을 한다고 했다.이장호의 상담심리학 개론서에서는 ‘상담의 기초 theory ’으로서 정신분석적 치료, 인간중심적 치료, 행동수정, 인지적 접근이 제시되었다.
Ⅰ. 서 론
상담 즉 counseling을 심리치료와 다른 것으로 구분한다면 응당 그 theory 에서도 차별화를 시도해야 한다. 상담과 심리치료 간에 중첩이 많아서 theory 적 구분을 하기 어렵다면 그 두개는 더 이상 구분을 할 명분을 잃게 된다. 그 두 전문직 사이에서는 누가 해석을 더 많이 하느냐, 누가 경청을 더 많이 하느냐 등의 양적인 차이는 있을지언정 질적인 차이는 없다고 본다는 것이다. 또 심리 상담과 치료의 theory 과 실제에서도 상담과 심리치료 theory 들을 구분하지 않았다. 이현림, 상담理論(이론)과 실제, 원미사, 2007
하지만 이는 보는 관점에 따라서 달라지며, 대상을 대접하는 방식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일것이다
레포트 > 자연과학계열
게슈탈트상담이론,정신분석적상담이론,상담이론,인간중심적상담이론,상담이론비교,상담이론비교표,상담,상담이론및실제,
3. 심리적 문제의 발생과정
정신分析적 상담理論(이론), 인간중심적 상담理論(이론), 게슈탈트 상담理論(이론)을 비교, 설명(explanation)하고 그 결과를 하나의 <표>로 요약 제시하였습니다.
3. 인간중심적 상담의 과정과 방법
Ⅴ. 게슈탈트 상담theory - Gestalt Therapy
2. 기본가정
1. 인간관
2. 심리적 문제의 발생과정
Ⅲ. 정신분석적 상담theory - Psychoanalytic Therapy
상담理論(이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1994
Ⅶ. 결 론
상담과 심리치료를 구분하려는 학자들은 적용분야에서 대상과 목적, 문제의 영역이 다르다고 말하고 있다 예를 들면, 상담은 정상인을, 심리치료는 비 정상인을 그 대상으로 하고 있는데, 정상과 비정상을 무엇으로 나누며, 어떻게 구분할 것이냐는 문제가 있다 의학에서는 병에 걸린 사람을 비정상적인 사람으로, 법학에서는 법을 어긴 사람으로, 무속인은 귀신 씌여진 사람으로, 통계학에서는 정상분포곡선의 average(평균)을 벗어난 사람으로 간주하고 있다
4. 정신분석적 상담theory 의 평가 - 공헌 및 제한점
심리상담, 심리치료 모두 중요 기능은 내담자가 그들의 힘을 인식하고, 그들의 힘을 막는 것을 발견하고, 그들이 어떤 사람이 되기를 원하는지 분명하게 하도록 돕는 것이다. 심리상담과 심리치료는 내담자가 자신의 행동과 생활양식을 정직하게 보도록 하고 자신들이 원하는 방식으로 결정하도록 하는 과정이다.
2. 심리적 문제의 발생과정
1. 인간관
순서
Ⅰ. 서 론
[참고 문헌]
허창범, 상담理論(이론)과 상담 실습, 태영출판사, 2008
Gerald Corey의 Theory and Practice of Counseling and Psychothrapy 와 같은 책은 상담theory 과 심리치료theory 을 구분하지 않는 가장 전형적인 책이다. 대표적 심리치료 theory 들이 상담의 기초 theory 으로 紹介(소개)된 것이다.
설명
이에 명료성을 위해 정신분석적 상담theory , 인간중심적 상담theory , 게슈탈트 상담theory 을 비교, 說明(설명) 하고 그 결과를 하나의 표로 요약 제시하고자 한다.
정신분석적 상담이론, 인간중심적 상담이론, 게슈탈트 상담이론을 비교, 설명하고 그 결과를 하나의 <표>로 요약 제시하였습니다.